복지&지역사회

농협중앙회, 상무·지역본부장 인사 발표에 촉각

농업경제상무에 우성태, 임관빈, 장철훈, 최문섭 前회원종합지원부장 승진
축산경제상무는 정종대 前농협경제지주 축산기획부장이 승진 임명
경기지역본부장 김장섭, 충남지역본부장 길정섭, 전북지역본부장 박성일 승진 발령
경남지역본부장 윤해진, 서울지역본부장 이대엽, 대구지역본부장 김춘안, 광주지역본부장 강형구 前 장흥군지부장 승진

 

농협중앙회(회장 김병원)와 농협경제지주는 11월 29일(2020년 1월 1일자 발령) 상무(보)·지역본부장 인사를 실시했다.

이번 인사는 지속가능한 농업·농촌 성장을 위하여 전문성 강화 및 인사 쇄신·시너지 제고 등에 주안점을 뒀다.

 

또, 농업·농촌을 둘러싼 대외여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300만 농민의 대변인으로서 농가소득 5천만원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열정과 능력 있는 인사를 발탁하였다. 

 

【농협중앙회 상무】교육지원상무 유재도(前 전북지역본부장), 지준섭(前 비서실장)이다.

【농협중앙회 상무보】교육지원 상무보 김현우(前 농협금융지주 디지털전략부장, 조소행 (前 충남지역본부장)이다.

 

 【농협중앙회 지역본부장】 경기지역본부 김장섭(前 농협금융지주 경영지원부장), 강원지역본부 장덕수(前 조합구조개선부장), 충북지역본부 염기동(前 농협충북유통 대표이사), 충남지역본부 길정섭(前 상호금융증권운용부장), 전북지역본부 박성일(前 농협은행 기업개선부장)이다.

 

또, 경남지역본부 윤해진(前 상호금융투자심사부장), 서울지역본부 이대엽(前 인사총무부장), 대구지역본부 김춘안(前 포항시지부장), 광주지역본부 강형구(前 장흥군지부장), 대전지역본부 윤상운(前 상호금융채권운용부장)이다.

 

【농협경제지주 상무】 농업경제상무 우성태(前 농협경제지주 식품사업부장), 임관빈(前 농협하나로유통 농산본부장), 장철훈 (前 기획실장), 최문섭 (前 회원종합지원부장), 축산경제상무 정종대(前 농협경제지주 축산기획부장) 2020년 1월 1일자이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