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쌀 탈곡해보니 6만톤 부족… 쌀값 뛸 준비(?)

작황악화로 신곡수요량 380만톤 보다 턱없이 부족한 374만톤 수확에 그쳐
올해 쌀 생산 전년보다 12만톤 감소예상… 수급균형 수준보다 부족할 전망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19년산 쌀 생산량은 전년(386만8천 톤)보다 약 12만4천 톤 감소한 374만4천 톤(11.12일 통계청 발표)으로 신곡 예상 수요량(380만톤 내외)을 감안 시, 약  6만 톤 수준의 공급 부족을 전망했다.

 

올해 벼 재배면적은 73만ha로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 등으로 전년보다 약 8천ha 감소하였고, 벼 낟알이 익는 시기(등숙기)에 태풍․잦은 비로 인한 일조시간 감소 등의 기상 악화로 쌀 생산단수가 전년에 비해 낮아졌기 때문이다.

 

10월 15일 발표된 쌀 예상생산량 조사(통계청, 9.15일 기준)에서는 518kg/10a로 전망(태풍 ‘링링’ 피해만 반영)했으나, 이후 우리나라에 피해를 준 태풍 ‘미탁․타파’의 영향을 모두 반영한 결과 513kg/10a로 나타났다.

 

 

이에 10월 이후 하락했던 산지쌀값은 11월 5일에는 상승하였고, 조곡(벼) 가격 상승세를 감안하면 향후 쌀값 강세가 예상된다. 산지쌀값(원/80kg) 동향을 보면 (’19.10.5) 191,912→ (10.15) 188,796→ (10.25) 188,476→ (11.5) 189,528원에 형성되고 있다.

 

11월8일 기준, 공공비축미(35만톤) 및 민간유통업체 매입물량은 147만톤, 유통업체 매입물량은 138만톤 수준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쌀 시장 안정을 위해 ‘19년 쌀 소비량 조사 결과(‘20.1월 예정, 통계청) 및 가격 변동 등 쌀 수급과 시장동향을 지속 점검할 계획이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