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쌀 탈곡해보니 6만톤 부족… 쌀값 뛸 준비(?)

작황악화로 신곡수요량 380만톤 보다 턱없이 부족한 374만톤 수확에 그쳐
올해 쌀 생산 전년보다 12만톤 감소예상… 수급균형 수준보다 부족할 전망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19년산 쌀 생산량은 전년(386만8천 톤)보다 약 12만4천 톤 감소한 374만4천 톤(11.12일 통계청 발표)으로 신곡 예상 수요량(380만톤 내외)을 감안 시, 약  6만 톤 수준의 공급 부족을 전망했다.

 

올해 벼 재배면적은 73만ha로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 등으로 전년보다 약 8천ha 감소하였고, 벼 낟알이 익는 시기(등숙기)에 태풍․잦은 비로 인한 일조시간 감소 등의 기상 악화로 쌀 생산단수가 전년에 비해 낮아졌기 때문이다.

 

10월 15일 발표된 쌀 예상생산량 조사(통계청, 9.15일 기준)에서는 518kg/10a로 전망(태풍 ‘링링’ 피해만 반영)했으나, 이후 우리나라에 피해를 준 태풍 ‘미탁․타파’의 영향을 모두 반영한 결과 513kg/10a로 나타났다.

 

 

이에 10월 이후 하락했던 산지쌀값은 11월 5일에는 상승하였고, 조곡(벼) 가격 상승세를 감안하면 향후 쌀값 강세가 예상된다. 산지쌀값(원/80kg) 동향을 보면 (’19.10.5) 191,912→ (10.15) 188,796→ (10.25) 188,476→ (11.5) 189,528원에 형성되고 있다.

 

11월8일 기준, 공공비축미(35만톤) 및 민간유통업체 매입물량은 147만톤, 유통업체 매입물량은 138만톤 수준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쌀 시장 안정을 위해 ‘19년 쌀 소비량 조사 결과(‘20.1월 예정, 통계청) 및 가격 변동 등 쌀 수급과 시장동향을 지속 점검할 계획이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