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농협,판매조직으로 대혁신해야 ‘온라인 농산물공판장’ 촉구

생산자-APC -하나로마트-로컬푸드 직매장 연계 종합생산, 유통, 판매조직으로 탈바꿈해야
박완주의원 “농협, 농가 계약재배부터 판매처 확보까지 원스톱 지원해야”

농협이 생산, 유통, 판매 조직을 모두 갖춘 만큼, 농가와의 계약재배부터 판매처 확보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 충남 천안을)은 “농산물시장 개방과 대형유통업체의 시장 지배력이 확대되어 농가가 안정적인 판매처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며 “농협의 유통라인을 활용하여 생산자–APC-하나로마트ㆍ로컬푸드 직매장을 연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지역에서 생산하는 농산물을 농협 APC에서 집하, 선별, 세척, 포장, 저장, 가공 등의 상품화 기능을 수행하고 인근 하나로마트와 로컬푸드 직매장을 통해 판매하는 구조를 만들자는 제안이다.  

이어 박완주 의원은 새로운 시장 트렌드에 맞는 新 유통 ‘온라인 농산물공판장’의 거래체계도 촉구했다.‘온라인농산물공판장’은 온라인 전자거래시스템을 통하여 출하자와 매매참가인간 거래를 체결하여 공판장(도매시장)에 상품 반입 없이 매매참가인의 지정장소로 직접 배송하는 거래제도이다. 현재 제주시농협에서는 2017년부터 공판장 산지전자입찰거래를 운영하고 있다.  

 

전자경매의 장점은 우선 도매시장 운송절차를 생략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한다는 것이다. 또한, 유통경로를 단축하여 유통비용을 축소하고, 상하차 단계 축소로 인한 신선도를 제고하는 것이다.  

해외사례를 보면 네덜란드는 최첨단 이미지경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재배된 화훼는 네덜란드 경매시장으로 이동하여 비현물 화상경매되어, 경매장 물류저장시설 또는 생산지에서 곧바로 소비지로 배송되어 선도유지와 함께 물류비용을 줄이고 있다.  

 

또한 벨기에의 대표적 농산물 경매장인 벨로타도 1990년대부터 비현물 이미지경매를 도입했고, 현재는 전체 등록 매매참가인의 약 2/3정도가 인터넷을 통해 경매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완주 의원은“농협, 농가 계약재배부터 판매처 확보까지 원스톱 지원하여‘로컬푸드’를 활성화 하고, 새로운 시장 트렌드에 맞는‘온라인 농산물공판장’도 함께 고려하여 중장기적인 유통 운영체계를 검토해야한다”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임차농' 보호 서둘러야!... ‘유령농부’가 웬말이냐?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들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임차농' 보호 서둘러야!... ‘유령농부’가 웬말이냐?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들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