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협 경제사업 활성화 '지지부진'

농협중앙회, 사업구조개편으로 정부 예산  8,774억 원 지원 받았지만 집행률은 68.6%에 그쳐!  

농협, ’12년 사업구조개편 과정에서 추진한 ‘경제사업 활성화 추진계획’  4조 9,592억 원 중 3조 4,004억 원만 집행
육계계열화 사업의 경우 1,100억 원 투자계획 세웠지만, 지금까지 1원도 투자하지 않아
'판매농협’ 지향하며 산지 출하물량 50% 책임판매 약속, 하지만 30%에도 못 미쳐

농협중앙회가 지난 2012년 사업구조개편을 통해 5조원의 농업금융채권을 발행해 정부로부터 이자 지원을 받으며, 2020년까지 ‘경제사업 활성화 추진계획’을 세웠지만 집행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간사로 활동하고 있는 정운천 의원(전북 전주시을)이 농협중앙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농협은 2020년까지 4조 9,592억 원 규모의 ‘경제사업 활성화 추진계획’을 세웠지만, 작년까지 3조 4,004억 원 밖에 투자하지 못해 집행률이 68.6%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제사업 활성화 추진계획’ 중 투자 부진사업을 살펴보면, ‘양곡사업 활성화 사업’은 당초 투자계획은 5,396억 원이었으나, 실제로는 2,230억 원만 투자되어 집행률이 41.3%에 그쳤고, ‘계란유통구조 개선 사업’의 경우 732억 원 투자계획 중 150억 원만 투자되어 20.5%의 집행률로 나타났다. 

특히, 종축부터 도축·가공 및 소비지를 효율적으로 연계하고자 한 ‘육계계열화사업’의 경우 1,100억 원의 투자계획이 있었으나, 현재까지 1원도 투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농협중앙회의 사업구조개편은 농협이 신용사업의 비중을 낮추고 경제사업을 활성화 하겠다는 목표로 진행됐다. 이 과정에서 농협은 농업금융채권 5조원을 발행했고, 정부는 여기에 대한 이자비용을 지원했다.    

 

이 당시 농협중앙회는 농업인에게 실익을 주는 ‘판매농협’ 구현을 목표로 산지 농·축협 출하물량 50% 이상을 경제지주가 책임 판매 하겠다는 계획도 세웠지만, 이 또한 내년도 목표에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농협중앙회는 2020년까지 원예의 책임판매 비중은 39%, 양곡은 59%, 축산은 64%까지 높이기로 했지만, 작년 기준 원예는 25.2%, 양곡은 38.4%, 축산은 29.4%로 전체 경제지주 책임 판매는 29.3%에 머물러 있어 내년도 목표인 50% 달성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운천 의원은 “농협의 사업구조개편 당시 경제사업 강화를 위한 ‘판매농협’을 지향하며 우여곡절 끝에 시작됐지만, 투자계획에 따른 사업 집행률과 약속한 산지 출하물량 책임판매 실적이 너무 저조해 내년도 목표 달성은 불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어려운 농가현실을 생각했을 때 농협은 하루빨리 기존의 ‘경제사업 활성화 추진계획’을 재점검해 농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