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팜한농, 더위에 강한 ‘PMR썸머킹멜론’ 소개

팜한농, ‘PMR썸머킹멜론’ 더위에 강하고 덩굴쪼김병에 강해 생육후기까지 버팀성 좋다

국내 하계용 멜론 재배면적 및 생산량은 소비확산에 힘입어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폭염, 폭우 등 이상기후 조건에서 병해충과 바이러스병 발생 증가는 여름철 농사의 심각한 위협 요인이다. 이에 따라 하계 멜론 주산지에서는 뿌리가 강하여 후기까지 초세가 좋고, 흰가루병에 강한 품종들의 재배선호도가 높았다.

 

팜한농에서 새롭게 육성한 ‘PMR썸머킹멜론’은 고온기 멜론 재배농가들의 오랜 바람인 과실 비대성과 생육후기 버팀성, 흰가루병  예방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한 신품종이다. 기존 흰가루병 저항성 품종들은 잎이 크고, 절간이 길어 재배가 까다롭고, 향과 육질 등 과품질도 불량한 편이었다. 이에 반해 ‘PMR썸머킹멜론’은 멜론 고유의 향과 높은 당도, 아삭한 육질 등 우수한 상품성을 자랑하면서도 재배안정성 역시 뛰어나다. 이러한 장점들이 주산지에서 검증되고 있어, 앞으로 ‘PMR썸머킹멜론’이 고온기 하계 전용 품종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PMR썸머킹멜론’는 더위에 강하고, 덩굴쪼김병에도 강해 생육후기까지도 버팀성이 좋다. 흰가루병 저항성도 비교적 강하여 병 발생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흰가루병은 고온건조한 환경에서 발생이 심해져 예방위주의 관리와 저항성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숙기는 재배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고온기(8~9월 수확기)에는 착과 후 45~50일 전후이며, 과중은 2~2.5kg 이상의 중대과종이다. 절간이 짧고, 잎 크기는 중간 정도이며 입성으로 재배관리가 쉽다.

 

당도는 15~18브릭스(Brix) 정도로 높아 맛이 뛰어나다. 무엇보다 흰가루병 저항성을 보강하고, 생육후기까지의 버팀성을 크게 개선하여 4~6월 파종하는 고온기 한여름 재배에 안성맞춤인 품종이다. 과피색이 밝고, 네트 발생이 쉬워 열과 발생은 적은 편이다. 네트가 굵고 선명해 상품성이 뛰어나고, 과육이 단단하고 아삭한 육질도 좋다.

 

전남 곡성읍 서남진씨는 “기존 품종들과  비교했을 때, 당도가 3브릭스(Brix)정도 더 높고 아삭한 맛이 정말 좋습니다. 흰가루병에도 더 강하고 후기까지 초세가 꾸준히 유지되어 농사짓기에 어려움이 적었어요. 저절위에 착과시키면 과형이 정구형이나 약한 편구형과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기존보다 1~2마디 착과 절위를 높여서 착과시켜 주는 것이 고구형 과형의 대과 생산에 유리합니다.”라고 재배소감을 들려준다.

 

고품질 멜론은 당도가 높으면서, 특유의 향이 있어야 한다. 또 꽃자리 부분은 무르지 않고 단단해야 한다. 하계용 멜론은 딸기, 토마토, 수박 후작용으로 많이 재배한다. 파종부터 수확까지 85~100일이면 가능하다. 하계용 멜론의 안정된 재배를 위해서는 모종 소질이 좋아야 한다.  여름작형에서는 보통 15~20일 내외의 비교적 어린묘를 정식한다.  정식 후 근권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25일 이후에 착과를 시켜줘야 과실 비대가 양호하고 갑작스런 시들음병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