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껍질째 먹는 ‘참외’ 품종 개발

농기평, 참외 과피 경도 20%↓ 당도는 20%↑신품종 참외 첫 개발

국내 최초로 ‘껍질째 먹을 수 있는 참외 품종’이 개발되어 고부가가치 신품종의 수출시장 개척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오경태)은 농식품 R&D 지원을 통해 과피 경도가 낮아 기존 참외보다 부드럽고, 당도가 높아 식미가 우수한 껍질째 먹을 수 있는 중국참외(Oriental melon) 3품종과 한국참외(Korean melon) 2품종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참외 소비국인 중국의 경우 참외 재배면적이 ‘14년 기준 380,000ha로 국내(5,438ha) 대비 70배에 이를 정도로 그 시장규모가 크다. 중국 시장을 타깃으로 개발된 3품종(JCOM-51, 53, 59)은 기존 중국 참외 대비 과육의 경도는 높으나 당도가 약 2°Brix 이상 높기 때문에 식미가 우수하며 수송성이 좋다. 또한 중국 현지에서 재배 안정성이 높고 흰가루병 저항성 품종이다.

국내 재배용으로 개발된 ‘광복꿀’(JCKM307)과 ‘백두꿀’(JCKM304) 품종은 국내에서 재배되는 기존 품종 대비 과피경도가 낮고, 3°Brix 이상 높은 당도로 식미가 우수함은 물론 흰가루병 저항성을 가진 품종이다.

 

참외는 베타카로틴, 엽산, 쿠쿠르비타신 등의 기능성 성분들을 많이 보유한 과일이며, 그 중 악성빈혈, 치매, 기형아 출산 등의 예방효과를 가지는 ‘엽산’함량이 높다.

이러한 영양소는 과육(속)보다 과피(껍질)에 많이 함유되어 있어 중국에서는 참외를 대부분 껍질 째 섭취하고 있으며 그 기호도도 높은 편이나, 흰가루병 저항성 등 내병성 품종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와 농기평은 ‘수출전략기술개발사업’을 통해 2014년부터 지난 3년간 껍질째 먹을 수 있는 참외품종을 개발한 결과, ‘일반 참외 대비 과피 경도가 약 20% 낮고 당도가 약 20% 높은 참외 신품종 5종을 육성하는데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를 주관한 장춘종묘㈜ 연구팀에 의하면, ˝개발된 참외품종의 당도는 16∼18°Brix로 일반참외 당도(13.6°Brix) 보다 약 2~4°Brix 이상의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과육부위 미네랄 함량도 약 1.7배, 항산화성분인 폴리페놀이 약 2배가량 더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특히 중국 참외의 경우 과피 경도가 너무 낮아 물러짐 현상으로 인해 인근 지역에만 판매가 가능하였으나, 개발 품종은 중국 전역 유통이 가능한 수준으로 과피 경도를 선정, 저장성과 수송성을 높였다. 또한, 흰가루병 등 내병성에 강하고 고당도로 식미가 우수하다.

 

해당 연구팀은 “현재 중국 참외 판매가격은 kg당 약 2,500원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금번 개발된 신규품종은 고부가가치 농산물로 약 2배 이상의 가격 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농기평 오경태 원장은 “우리 몸에 좋은 성분은 과일 껍질에 많다는 사실이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잔류 농약 및 미생물,식감 등의 이유로 껍질째 섭취를 꺼려하고 있는 가운데, 금번개발된 ‘껍질째 먹는 참외품종’은 내병성 품종으로 농약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국민 건강 증진은 물론 참외 시장개척에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