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경기도 적정기술박람회… “마을을 바꾸는 착한 기술”

11월 2일부터 4일까지 고양시 일산호수공원 한울광장에서 개최
적정기술 체험존 및 특별 강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 진행

‘2018 경기도 적정기술박람회’가 11월 2일(금)부터 4일(일)까지 고양시 일산호수공원 한울광장에서 ‘마을을 바꾸는 착한기술’이라는 주제로 개최됐다.

경기도가 주최하고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에서 주관, 고양시가 후원하는 이번 박람회는 문명의 발달 속에서 피해를 입는 특정 지역 환경에 알맞은 기술을 제시해 더불어 가는 삶의 의미를 되찾고자 기획했다.

 

먼저, 적정기술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직업 체험존을 운영한다. 다빈치브릿지와 스타돔을 제작해볼 수 있는 ‘직업 체험존’, 파쿠르&밧줄놀이터, 볏집놀이터 ‘적정기술 놀이터’, 토종벼 및 볏짚 공예품 전시부터 생태변기와 비전화기기를 확인할 수 있는 ‘도시농업 적정기술관’, 다양한 생활공예품을 제작하고 체험하는 ‘생활기술 공예존’, 적정기술 워크숍 등 다양하게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적정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기기(공기청정기, LED 별자리, 우드스토브 등)를 만들고 체험(페달기기, 플라스틱 재활용 기기, 태양광 기기, 난로 및 화덕)해볼 수 있는 ‘적정기술 체험존’도 마련됐다.

 

‘도시 농장과 적정기술’을 주제로 ‘적정기술 포럼’도 열린다. 기술포럼에는 대한민국 대표 적정기술 활동가 김성원 대표, 대안에너지 기술연구소장 강신호 박사, 경기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김덕일 대표가 특별 연사로 나서 적정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부대행사로 ‘적정기술 컨퍼런스 및 특별 강연’도 진행된다. 3일(토)에는 ‘소녀, 적정기술을 탐하다’의 저자이자 적정기술 메이커 조승연 작가의 특별강연이 마련돼 있으며, 4일(일)에는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김진덕 대표와의 특별한 만남이 예정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협성대, 신한대, 농협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메인 무대에서 컨퍼런스도 여는 등 전문성도 높였다.

 

행사 기간 내에는 적정기술의 대내외적 홍보를 위한 특별 홍보관도 운영, 적정기술의 개념을 확립하고 국내 적정기술 형성 배경과 경기도내 적정기술 기반 및 발전 방향까지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적정기술의 핵심 소재로 제작된 포토존에서 특별한 추억도 남길 수 있다.

 

이 밖에 전시회장을 둘러본 관람객을 대상으로 ‘적정기술 OX 퀴즈’를 실시, 적정기술과 관련한 문제를 OX로 풀어보고 우승자에게는 특별한 상품도 증정할 예정이다.

 

2018 경기도 적정기술박람회 관계자는 “적정기술이라는 것이 아직은 생소하지만 우리 일상생활은 물론 도시와 농촌생활 그리고 나아가서는 제3세계까지 쓰일 수 있는 착한 기술로 이번 박람회에서 적정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배울 수 있을 것”이라며, “깊어 가는 가을날 가족들과 함께 좋은 추억을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배울 것이 많으며, 다양한 체험을 통해 직접 만져보고 만들어 볼 수 있는 만큼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8 경기도 적정기술박람회 참가비는 무료로 진행되며, 행사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