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운동 등 신체 활발하면 '위암' 위험 절반으로 줄어

국립암센터 김정선 교수팀, 성인 1200여명 분석 결과 위암 환자의 92.1%가 헬리코박터균 감염 상태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에서 헬리코박터균 감염자라도 운동하면 위암 위험 감소 발표

운동 등 활발한 신체 활동이 위암 발생 가능성을 절반으로 낮춰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효과는 위암의 주범 중 하나로 알려진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사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12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국립암센터 암의생명과학과 김정선 교수팀이 암센터에 등록된 위암 환자  415명과 대조그룹 830명을 대상으로 운동의 암 예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는 ‘암’(Cancers)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연구 결과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상태이지만 정기적으로 운동한 남성의 위암 발생 위험은 운동과 담을 쌓고 지내는 남성의 52% 수준이었다. 꾸준히 운동한 여성의 위암 발생 위험도  운동을 멀리 하는 여성의 60%였다. 강도 높은 운동을 하는 사람의 위암 발생 위험은 가장 운동량이 적은 사람의 절반 이하(46%)였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운동이나 활동이 부족하면 결장암(대장암의 일종)ㆍ유방암ㆍ자궁내막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는 이미 나와 있다”며 “운동ㆍ활동량이 늘면 위암 발생 위험이 감소한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에서 위암 환자의 헬리코박터균 감염률은 92.1%로, 대조 그룹(56.8%)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았다.

 

한국 등 동아시아에선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위암의 가장 널리 알려진 위험 요인이다. 위암 환자의 90% 이상은 현재 또는 과거의 헬리코박터균 감염자였다. 전체 헬리코박터균 감염자의 약 1%만이 위암에 걸린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위암 예방 등 건강을 위한 운동ㆍ활동은 중간 강도로 주당 최소 150분, 고강도로 주 75분 이상”이라고 전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