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과수 구제역이라 불리는 과수 화상병 작년보다 2배 급증

올해에만 농가 손실보상금액 192억(잠정치)에 달해
기재부의 반대로 아직 연구기반시설도 마련되지 않아

과수 구제역이라 불리는 과수 화상병이 올해8월까지만 해도 지난해 2배가 넘게 급증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과수 화상병은 사과, 배 등 장미과 식물의 잎이나 꽃, 가지, 줄기, 열매가 화상을 입은 듯 조직이 검게 마르는 세균성 질병으로 일명 과수 구제역으로 불린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이양수 의원(자유한국당, 강원 속초고성양양)은 10일 농식품부 국정감사에서, 과수 화상병으로 인한 매몰 처분 농장이 2016년 32개, 2017년 55개, 2018년 109개로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매몰 처분 농장이 지난해에 비해 올해 들어 8월까지만 해도 2배가 넘게 급증했고,올해 피해 농가 피해(손실보상금액)가 192억(잠정치)에 달했다. 2015년부터 합하면 총 354억(잠정치)억의 손실이 과수 농가에 발생한 것이다.

농식품부는 우리나라에서 창궐하는 과수 화상병 유전자 분석결과 모두 북미계통으로 밝혀져 2010년 이후 북미에서 사과, 배 등의 묘목이나 가지의 불법반입을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양수 의원은 “검역당국은 북미에서 불법 수입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국내 유입 가능성이 있는 기주 식물(寄主植物, 초식성 곤충·애벌레의 먹이)을 차단하고 있지만, 결국 검역에 구멍이 뚫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또 “발생지역이 올해 들어 강원지역 등으로 확산되는 것은 국내간 확산이 주요 원인일 수 있다”며, “국내 간 확산 원인이 당국의 방제나 매몰지 관리 등에 실패한 것이 아닌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질타했다.

 

현재 과수 화상병 치료제는 없으며, 단지 예방 약제만 있으며 과수농가는 예방 약제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는 상태다.

 

과수 화상병 등 고위험병해충의 연구기반시설(격리병해충 시험연구동)은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다. 올해에도 농진청이 요구한 97억의 연구기반시설 건립 예산이 과기정통부 반대로 정부안에는 포함되지 못했다.

 

이 의원은 “검역당국이 불법반입이 원인이라는 변명이 아니라 검역 구멍에 대한 철저한 반성이 우선되어야 하며, 국경검역 인력 및 장비 등의 확충과 철저한 매몰지 관리가 필요하다”며, “효과있는 방제약 개발 등 과수화상병 등 고위험병해충의 연구기반시설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