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재배 안정성·높은생산성, ‘누리찰’ 추천

올가을 심을 쌀보리는? 수량 많은 ‘누리찰’ 추천
‘흰찰’보다 추위·병에 강하고 재배 안정성·수량성 더 높아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올가을에 심을 쌀보리 품종으로 재배 안정성과 생산성이 높은 ‘누리찰’을 추천했다.

 

‘누리찰’은 오랜 기간 재배해온 ‘흰찰’과 겉모양과 밥을 지었을 때(취반) 품질은 비슷하지만, ‘흰찰’보다 추위와 병에 강하며 수량이 10아르(a)당 519kg으로 많다.

 

‘흰찰’은 30년 전에 개발된 우리나라 최초의 찰성 쌀보리로 현재 국내 쌀보리 재배면적의 74%를 차지할 만큼 많이 재배되고 있다. 그러나 오래 재배돼온 까닭에 종자 순도가 떨어지고 병해에 약한 품종적 단점으로 최근 품질과 수량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추위와 보리누른모자이크병(Barley yellow mosaic virus)에 약해 수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어 ‘흰찰’을 대체할 새로운 품종 발굴이 시급했다.

 

‘누리찰’은 ‘흰찰’을 대체하기 위해 2010년 개발됐으며, 그동안 현장에서 재배 안정성이 입증된 품종이다. 키는 82cm로 중간이며 쓰러짐에 강하고 기계수확이 용이하며, 추위 피해와 보리누른모자이크병에 저항성이 있다. 겨울나기 후에도 생육이 균일하며 수량도 ‘흰찰’보다 8%가량 많다.

전분에 아밀로펙틴이 많아 수분과 잘 결합해 흡수율과 퍼짐성이 우수하며, 밥을 지었을 때 단단한 정도(경도)가 낮아 식감도 부드럽다.

 

‘누리찰’은 2019년 국립종자원에서 전북지역 보급종으로 선정, 공급되기 시작한 이후 꾸준히 증가해 올해 공급량이 80톤에 이른다. 전남지역도 올해부터 종자 증식 과정을 거쳐 2024년에는 ‘누리찰’을 보급종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누리찰’ 종자는 국립종자원에서 분양하고 있으며, 지역 농업기술센터를 통한 시·도 단위 일반신청 기간은 8월 26일까지다.

 

전북 군산시 대야농협 미곡종합처리장 김영순 장장은 “2020년부터 수매 품종을 ‘흰찰’에서 ‘누리찰’로 변경해 수매해오고 있다. 농가에서도 키가 작아 기계수확을 할 때 이물질이 섞이는 ‘흰찰’보다 기계수확이 편리한 ‘누리찰’을 선호한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작물육종과 김기영 과장은 “‘누리찰’은 ‘흰찰’의 단점을 개선해 육성한 품종이다. 재배 안정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누리찰’의 보급을 늘려 농가 생산 및 소득 증대에 보탬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협 ‘사랑의 집고치기 농가희망 봉사활동’ 발대식 개최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 임직원으로 구성된 ‘사랑의 집고치기 농가희망봉사단’은 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신영리마을에서 ‘사랑의 집고치기 농가희망 봉사활동’ 발대식을 개최하고, 관내 농가 8가구를 대상으로 집고치기 봉사활동을 실시했다. 이날 발대식에는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이병진 국회의원, 정장선 평택시장, 강정구 평택시의회 의장 등 180여 명이 참석하여 봉사단원들을 격려하고, 마을회관 기증품 전달 및 담장 페인트칠과 도배 등 노후 농가 시설 개선 활동을 펼쳤다. 농협중앙회 ‘사랑의 집고치기 농가희망봉사단’은 2005년 건축, 전기, 기계 등 전문기술을 보유한 농협 직원들의 자발적 재능기부로 시작하였으며, 현재까지 총 185회의 봉사활동을 통해 고령농업인과 장애인, 다문화·소년소녀 가정 등 취약계층 1,031가구에 쾌적한 보금자리를 만드는데 노력해왔다. 강호동 회장은 “사랑의 집고치기 농가희망 봉사활동을 통해 희망찬 농촌을 만들기 위한 주거환경 개선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농업인과 국민들에게 사랑받는 새로운 대한민국 농협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포승읍 신영2리 이중헌 마을이장은 “춥고 오래된 집에서 불편하게 지내시는 주민들을 볼 때마다 안타까웠는데 이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