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식품 소비패턴... '온라인 마켓팅' 갈수록 중요

- KREI, ‘2021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온라인 결과발표대회’ 개최
- “2021년 식품 구입 시 가격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구입장소 및 온라인 소비행태는 지속될 전망”

올해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식품 ‘가격‘에 매우 민감한 한 해를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을 구입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 ‘가격‘을 꼽은 가구의 비중이 거의 모든 품목류에서 크게 증가했다. 이는 급등한 먹거리 물가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코로나19 발생 이후 가속화된 비대면/언택트 소비행태가 2021년에도 지속되었는데, 식품을 주로 구입하는 장소가 ‘온라인 채널‘이라고 응답한 가구 비중이 2018년에는 0.3% 수준에 불과했는데, 올해에는 4.0%까지 증가했다.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외출을 줄이고 집밥이 늘어나면서 온라인을 통한 식품 구입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식품을 구입하는 장소의 선택이나, 온라인을 통한 식품구입행태와 관련해서는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이 14일 온라인 유튜브 채널을 통해 개최한 ‘2021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에서 나왔다. 이날 이계임 박사 연구팀은 2021년도 우리나라 가구의 식품소비 및 외식행태와 식생활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2021년 식품소비행태조사(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CBSF)는 가구 내 식품 주구입자(3,318가구), 성인(6,355명) 및 청소년 가구원(606명)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가구 및 개인의 식품소비 및 외식행태와 식생활 파악을 목적으로 2013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올해는 코로나19 발생 2년차로 대면조사의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예년보다 다소 이른 5월부터 조사를 실시하여 조사결과의 정확성을 담보하고자 노력했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가구에서 식품을 주로 구입하는 장소는 ‘대형 할인점(36.1%)’이 1순위를 차지했는데, 코로나19 1년차인 2020년에 처음으로 1순위로 올라섰던 ‘동네 슈퍼마켓(30.0%)’은 2순위로 내려왔다. 코로나19 1년차와 2년차의 변화로 판단된다. ‘재래시장’의 비중은 2019년까지 꾸준히 감소하고 있었는데, 코로나19 발생 직후인 2020년에 13.0%까지 증가한 특징을 보였으나, 올해에는 다시 10.9%로 감소하여 기존의 감소 추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으로 식품을 구입하는 가구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9년에는 4.9%의 가구에서 ‘주 1회 이상 온라인으로 식품을 구입한다‘고 응답하였는데, 올해에는 이 비중이 15.7%로 크게 증가했다(2020년 11.7%). 이들 중 88.7%는 모바일/스마트폰을 통해 식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비중은 2017년 61.4%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G마켓이나 쿠팡과 같은 ’온라인 종합 쇼핑몰‘에서 식품을 구입하는 가구의 비중이 71.1%로 처음으로 70%를 넘어섰다. 작년에는 58.5%, 2019년에는 51.1%였다. 한편, 마켓컬리나 더반찬 등과 같은 ’온라인 식품 전문몰‘이나, ’대형 할인점의 온라인 매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체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온라인 식품 시장에서는 ’온라인 종합 쇼핑몰‘의 독주가 이어졌다.
 
온라인에서 식품을 구입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배송의 정확성과 신속성(47.2%)’이 2020년과 동일하게 1순위를 차지하였는데, ‘가격(26.7%)’이나 ‘프로모션 및 쿠폰 증정(11.4%)’과 같은 가격적인 요소들의 비중이 전년(각각 22.7%, 8.5%)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식품 구입에서 가격적 요소들이 중요해진 2021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을 통해 주로 구입하는 식품으로는 물이나 가공식품이 주를 이루었는데, 2021년에는 곡류나 과일을 온라인으로 구입한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도 처음으로 30%대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되었다. 채소, 육류, 계란류와 같이 신선도가 매우 중요하거나, 깨지기 쉬운 신선식품군들도 처음으로 15%를 넘어섰다(온라인으로 식품을 구입한다고 응답한 가구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 기준).
 
식품 구입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기준으로는 단연 ‘가격’의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쌀을 구입할 때 소비자들은 맛, 품질, 가격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하였는데, ‘가격’을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2020년 20.3% 수준에서 2021년 24.2%로 약 4%p 가까이 증가하였다. 이는 채소류나 과일류 구입에서도 동일하게 발견되는 현상인데, ‘가격’을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응답한 가구 비중은 채소류와 과일류에서 각각 전년 대비 3.1%p, 3.5%p 증가했다. 올해는 농산물뿐만 아니라, 외식 및 가공식품 등 전반적인 먹거리 물가가 크게 증가했기 때문에 가격에 더욱 민감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식품 소비자들의 식량안보에 대한 관심 또한 크게 증가했다. ‘식량안보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28.4%로 감소했다는 응답 비중(3.0%)보다 크게 높았다. 이는 2020년과 거의 유사한 수준인데, 식량안보에 대한 관심 확대가 2021년에도 지속된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의 식품 구입장소를 다시 이용할 것 같다’고 응답한 가구는 전체의 5.2% 수준으로 매우 낮았으며, 코로나19 종식 후 기준 온라인을 통한 식품 구입 수준이 올해 수준과 동일할 것이라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 또한 80%에 육박했다. 식품 구입장소나 온라인 식품소비행태는 코로나19가 종식되어도 코로나19로 인해 크게 변화된 현재의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촌진흥청·건국대, ‘치유농업’ 발전 위한 관학 공동연구… 협약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와 9월 8일 건국대학교에서 이승돈 청장과 원종필 총장을 비롯해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치유농업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건국대 ‘디지털 인문 기반 치유농업 융합연구센터’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집단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된 것을 계기로 농촌진흥청에 협력을 제안해 추진됐다. 양 기관은 치유농업 분야에서 △과학적 효과 검증 연구 △표준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정책 개선 및 제도적 기반 마련 △전문 인력 양성 △공동 홍보 및 확산 기반 조성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아울러 관학의 연구·기술 역량을 모아 농업·인문학·생명공학·의학이 융합된 치유농업 분야 연구개발에 정진할 예정이다.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치유농업의 외연을 넓히고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라며, “앞으로 인문학과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치유농업이 국민 건강 증진과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학이 긴밀히 협력하고 실질적 성과 도출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원종필 건국대학교 총장은 “건국대는 1946년 개교 이래 농업 교육과 연구를 대학의 뿌리로 삼아 성장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