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구리농수산물공사,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 첫 선정 '눈길'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 지역사회 공헌 최고 성적 거둬 보건복지부장관상 화제

 

구리농수산물공사(사장 김성수)가 2021지역사회공헌인정제 인정기관에 처음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경기도 선정기관 중 최고 성적을 거둬 12월 3일 서울가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보건복지부장관상을 수상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는 비영리단체와 협약을 맺고 사회공헌활동을 펼친 기관을 발굴해 그 공로를 인정하는 제도이다.

 

최근 ESG 경영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만큼 △E(환경경영), △S(사회공헌), △G(윤리경영) 3개 영역 7개 심사분야 20개 지표를 기준으로 심사한 결과, 공사는 모든 영역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면서 200점 만점에 총점 172점을 획득하고 Level 4(확산)의 진단수준을 받았다.

 

 

특히, 공사는 구리시와 사랑나눔단, 관내 봉사단체와 함께 협업체계를 구축해 13년째 사랑의 김장 나눔 행사를 통해 관내 취약계층 1,500세대에 김장김치를 전달해 왔으며 대한적십자사와의 상생협약 후 분기별 사랑의 헌혈운동을 실천하고 다문화가정 결혼이민자에 대한 요리교실 운영 등 지역사회 문제 해결 공헌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한 점을 높게 평가했다.

 

또한 공유차량과의 업무협약을 통한 쏘카존 운영 △굿윌스토어와 함께 하는 재활용품 나눔 활동 △에너지 빈곤층을 위한 난방비 희망기금 전달 △희망 나눔 사랑의 온도탑 사업 등 공기업의 사회적 책임 경영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전직원이 몸소 실천하는 봉사활동으로 △도시락 나눔 봉사활동 △채소꾸러미 키트 나눔사업 △독거 어르신 추석맞이 제수용품 키트 나눔 △사회적 약자 과일 나눔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나눔 활동을 실천하고 있다. 공사는 향후 ESG경영과 함께 사회공헌 추진 전략을 고도화하기 위해 사회공헌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김성수 사장은 “이번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선정과 보건복지부장관상 수상은 공사가 구리시와 관내 봉사단체가 함께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 결과이며, 환경경영, 사회공헌, 윤리경영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ESG경영 측면의 다양한 활동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안승남 구리시장은 “구리농수산물공사의 다양한 활동들이 대내외에 인정받아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 앞으로도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해 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