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국내 100대 명산 '불법투기 폐기물' 2만여톤 심각

건축폐기물 5천톤, 생활쓰레기 4천톤, 산업폐기물 7백톤 등
김태흠 의원. 강원도 삼척 응봉산폐기물량 3천5백톤 최다

 

우리 국민들이 즐겨 찾는 전국의 명산에 버려진 폐기물이 수만톤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태흠 의원(국민의힘, 충남 보령․서천)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100대 명산에 불법으로 투기된 폐기물은 총 7,066톤으로 조사됐다.
산림청이 2017년 서울, 경기지역 12개 명산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총 81개(국립공원 제외 81개)를 조사한 결과이다.

산림청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2019년부터 처리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지난해까지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전라 지역이 대상이었다. 2020년까지 처리된 폐기물량은 총 1만4369톤에 이르는데 조사 된 5526톤 대비 두 배가 넘는다.

처리된 폐기물을 보면 건축폐기물이 5633톤으로 가장 많았고, 생활쓰레기 4063톤, 불법시설물 3948톤, 산업폐기물 724톤 등이었다.
올해는 충청도와 경상도 지역의 29개 명산에 대해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조사된 물량은 3393톤이지만 처리물량은 이를 훨씬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전국 100대 명산에서 처리 될 폐기물은 2만여 톤이 넘어 25톤 대형 덤프트럭 8백대 분량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명산 별로 보면 강원도 삼척의 ‘응봉산’에서 처리된 폐기물이 3530톤으로 가장 많았으며 방태산 564톤, 소요산 481톤, 모악산 405톤, 감악산 371톤 등의 순으로 처리물량이 컸다.

김태흠 의원은 “불법으로 투기되는 각종 폐기물로 우리 산림이 황폐화되고 있다. 산림청과 지자체 등은 산지 내 폐기물에 대한 실태조사와 처리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한다. 또한 산을 이용하는 국민들도 쓰레기 등을 몰래 버리지 않는 의식 있는 산행을 해 줄 것을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임차농' 보호 서둘러야!... ‘유령농부’가 웬말이냐?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들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임차농' 보호 서둘러야!... ‘유령농부’가 웬말이냐?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들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