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1톤짜리 슈퍼한우 출하... "2천만원에 낙찰"

농협사료 강원지사와 평창영월정선축협, 투플러스 슈퍼한우 1,003kg 출하 기념행사

 

평창영월정선축협(조합장 고광배)과 농협사료 강원지사(대표 이종현)는 입식부터 출하까지 농협사료를 급여한 정선 송일호(정선군 화암면 용소길 344, 56세)농장에서 1톤 넘게 출하된 슈퍼한우 출하를 기념하기 위해 9월 7일 평창영월정선축협 본점 종합청사 회의실에서 슈퍼한우 출하기념 행사를 실시하였다.

지난 8월 30일 출하한 6마리 중 1마리(002134416102)가 생체중 1,003kg, 도체중 615kg, 등심단면적 151㎠로 1++A등급을 받아 경락가 2천만원을 넘겼다.

 


전국 평균 도체중 452kg에서 136% 더 높은 도체중 615kg을 기록한 슈퍼한우는 등심단면적이 평균보다 두배나 크게 나와 명실상부 슈퍼한우라 할 수 있겠다.

이번에 탄생한 슈퍼한우는 농협사료를 입식에서부터 출하까지 급여하였는데 국제곡물시세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변함없는 성장과 발육에 필요한 신체충실지수(BCS)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제품을 생산·공급하는 농협사료를 급여한 부분과 농협사료 강원지사만의 지역 맞춤형 사료 제조 및 공급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슈퍼한우 출하를 기념하고자 농가의 요청사항을 수렴하여 감사의 뜻으로 농협사료 3톤을 무상으로 공급한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만감류 재배도 스마트하게... ‘편의성! 생산성! 향상 기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김대현 부장은 11일 제주시 ‘과수 스마트팜 시범농가’를 방문해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관계관을 격려했다. 과수 스마트팜 기반조성 시범 사업은 전국 7개 시군에서 시군당 5,000만 원, 총 3억 5,000만 원 규모로 추진되고 있다. 제주에서는 서부농업기술센터가 만감류 농가 5곳에 자동관수 시스템과 공기 순환팬, 온·습도 제어용 기상 감지기, 환경 점검을 위한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등을 설치해 스마트팜 기반을 조성했다. 지금까지 감귤 스마트팜은 기상 정보를 수집하고 천·측창 등을 원격 제어하는 1세대 스마트팜에 머물러 있었다. 최근에는 활발한 연구개발과 지원으로 재배 환경을 확인하고 자동으로 시설을 제어하는 수준까지 개선됐다. 제주 농가에 설치한 장비는 핸드폰, 컴퓨터로 자동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농가 노동력 절감과 이상기상 피해를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대현 부장은 “만감류 스마트팜 사례는 자동제어 기술이 시설 과수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수단임을 보여준다.”라며 “앞으로 기상 점검, 병해충 진단 등 재배 기술을 고도화해 영농 전 과정의 스마트화 구축에 최선을 다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만감류 재배도 스마트하게... ‘편의성! 생산성! 향상 기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김대현 부장은 11일 제주시 ‘과수 스마트팜 시범농가’를 방문해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관계관을 격려했다. 과수 스마트팜 기반조성 시범 사업은 전국 7개 시군에서 시군당 5,000만 원, 총 3억 5,000만 원 규모로 추진되고 있다. 제주에서는 서부농업기술센터가 만감류 농가 5곳에 자동관수 시스템과 공기 순환팬, 온·습도 제어용 기상 감지기, 환경 점검을 위한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등을 설치해 스마트팜 기반을 조성했다. 지금까지 감귤 스마트팜은 기상 정보를 수집하고 천·측창 등을 원격 제어하는 1세대 스마트팜에 머물러 있었다. 최근에는 활발한 연구개발과 지원으로 재배 환경을 확인하고 자동으로 시설을 제어하는 수준까지 개선됐다. 제주 농가에 설치한 장비는 핸드폰, 컴퓨터로 자동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농가 노동력 절감과 이상기상 피해를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대현 부장은 “만감류 스마트팜 사례는 자동제어 기술이 시설 과수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수단임을 보여준다.”라며 “앞으로 기상 점검, 병해충 진단 등 재배 기술을 고도화해 영농 전 과정의 스마트화 구축에 최선을 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