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가락시장 '고가평균, 저가평균' 가격 산출방식 바뀐다

- 품질 기준이 반영되지 않았음에도 반영된 것으로 인식하기 쉬운 ‘특, 상, 보통, 하’ 체계를 폐지하고, 거래방법별 가격을 반영한 ‘고가평균, 중가평균, 저가평균’ 체계 개선
- 품목별로 거래방법별(경매, 정가․수의, 상장예외, 시장도매인 등) 물량과 가격정보 제공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김경호)는 가락시장 개장 이래 36년 동안 제공해왔던 가격정보에 대해 대대적인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공사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되고 있는 가격정보는 기본적으로 당일 가격 서열에 따라 물량 가중치를 적용해 ‘특, 상, 보통, 하’로 산출되고 있다.

품목별로 물량 가중치는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가격 상위 5%의 평균가격이 ‘특’, 35%가 ‘상’, 40%가 ‘보통’, 20%가 ‘하’ 로 산출된다. 이렇게 물량 가중치로 등급별 가격을 산출한 배경에는 생산자의 등급표기가 주관적이고, 축산물과 같이 공인된 등급 판정 제도가 없어 최종 소비지 도매시장에서 궁여지책으로 등급 아닌 등급 가격을 생성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등급별(특, 상, 보통, 하) 가격정보는 품질 기준이 반영되지 않았음에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정한 품질등급이 가격에 반영된 것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같은 품질 등급의 농산물이더라도 시차를 두어 가락시장에 출하할 경우 반입물량에 따라 등급이 달라지는 모순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가락시장 가격정보가 정확한 유통정보를 담아내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어 왔다.

 


공사는 그동안 유통정보개선 TF를 운영하고 해외사례 조사, 전문기관 연구용역 및 유통정보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 등을 반영하여 향후에는 유통정보 이용자들의 가격정보에 대한 오해가 없도록 기존의 ‘특, 상, 보통, 하’ 체계를 ‘고가 평균, 중가 평균, 저가 평균’ 체계로 전환하여 제공할 계획이다.

향후 전환되는 가격군별 물량 가중치는 전문기관 연구용역 결과를 참고하여 고가 평균은 상위 20%, 중가 평균은 중위 60%, 저가 평균은 하위 20%를 반영할 예정이며, 출하자의 거래방법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품목별로 거래방법별 반입량 및 가격정보를 함께 제공할 계획이다.

 


새롭게 개편 예정인 가격정보 체계는 우리나라와 거래형태가 유사한 일본의 가격정보 형태와 비슷하며, 유통정보 이용자 설문조사에서(76명 응답) 응답자의 74%가 개편방향에 대해 찬성했다.

공사 김승로 유통조성팀장은 “이번 유통정보 체계 개편으로, 그간 경매 외에 다양한 거래방법이 도입되었음에도 거래방법별 물량과 가격이 다양하게 제공되지 못했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유통정보 이용자들의 거래방법별 거래 비중 파악과 품목별 가격분포 등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유통정보 이용의 편리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금년 내 시범운영 후 전산프로그램 보완 등 본격적인 개편에 들어 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