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우자조금 1원당 한우농가는 53원 수입증가 효과

한우자조금 1원당 한우농가 수입 증가액은 단기적으로 5.9원, 장기적으로 53.8원 증가

한우자조금에 대한 농가의 필요성, 지난해에 이어 높은 수준 유지 코로나19 불구 한우고기 섭취에 긍정적 영향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2020년 한우자조금 성과분석 연구’결과 발표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2020년 한우자조금 성과분석 연구’ 최종보고 내용을 발표했다.

한우자조금 성과분석 연구는 한우자조금사업에 대한 한우농가 및 소비자의 인식조사, 경제적 효과분석을 통해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한우자조금 사업추진 방향을 개선해 나가고자 이뤄진 것이다.

 

먼저, 한우농가를 대상으로 진행한 대내적 성과분석에서 ‘한우자조금 필요성’ 점수는 92.2점으로 전년(92.2점)에 이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산의 효율적 배분 정도’ 역시 전년보다 소폭 증가한 67.7점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한우농가들은 한우자조금 사업 중 중점을 두어야 하는 사업으로 소비홍보사업과 수급안정사업으로 평가하였으며, 소비홍보사업 중에서도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하는 사업으로 ‘TV 및 라디오 광고’와 ‘방송 협찬 프로그램(PPL)’이라고 답하였다.

 

소비자 대상 대외적 성과분석 결과, 코로나19로 인해 ‘공익이벤트/체험사업’이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음에도 한우고기 섭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이용하는 매체와 신뢰하는 매체에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지상파TV’와 ‘케이블TV’를 자주 이용하고 신뢰하는 반면, 연령대가 낮을수록 ‘온라인 기사’, ‘유튜브’를 자주 이용하고 신뢰하였다.

 

 

이에 2020년 한우자조금 매체별 예산비율은 매체별 중요도에 맞게 배분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방송협찬프로그램(PPL)에 대한 예산비율 증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를 바탕으로 경제적 분석 결과, 소비홍보사업으로 인한 2020년 한우자조금 1원당 한우농가 수입 증가액은 단기적(1개월)으로 5.9원, 장기적(4개월 누적)으로 53.8원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급안정사업을 포함한 기타 4개 사업은 당월에 대해 2.9원이 증가한 것으로 계측되었다.

더불어, 소비홍보사업은 단기에 도매가격의 0.5%, 장기에 도매가격의 4.1%만큼 인상시킨 것으로 추정되었고, 수급안정사업을 포함한 기타 4개 사업은 당월에 도매가격의 0.6%만큼 인상시킨 것으로 추정되었다.

 

금번 분석연구를 통해 사업별 성과를 분석하고 보완사항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효과적인 한우자조금사업의 추진방향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계획이다.

 

결과 보고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정보마당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