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아시아지역 이동성 병해충 ‘스마트 공중포집기’로 실시간 관측

- 베트남, 태국에 시범 설치… 아시아지역 네트워크 구축 기반 마련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기반 시설이 부족한 아시아지역의 병해충 예찰을 지원하고 비래해충의 국내 유입에 따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이동식 스마트 공중포집기’를 베트남과 태국 현지에 시범 설치해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동성 해충인 멸구류는 돌발적으로 발생해 작물에 직접 피해를 주고 바이러스 병을 매개해 피해를 준다.
스마트 공중포집기는 실시간으로 날아오는 병해충의 상황을 파악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비이다.

농촌진흥청은 2015년 이후 지금까지 서해안을 중심으로 국내 40곳의 시군 농업기술센터 예찰 답에 고정식 스마트 공중포집기를  설치해 이동성 병해충을 실시간 예찰하고, 그 정보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시군 예찰 담당자에게 미리 알려 제때 방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동식 스마트 공중포집기는 고정식 포집기의 1/4 크기에 조립식이라 이동과 설치가 쉬워 기반 시설이 취약한 국내·외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소비전력을 50% 줄였고 해충 포집을 위한 흡입력은 높였으며, 2배 이상 화질 개선과 자동 인식을 위한 영상 분석 시스템 기술을 확보했다. 반면, 도입과 운영 관리 비용은 50% 줄였다.
이 공중포집기는 아시아지역 이동성 병해충에 대한 국가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과제를 통해 2017년 베트남 남부 쌀 재배지인 메콩강 삼각주 지역의 티엔장(Tiengiang)주에 설치됐고, 태국은 멸구류 피해가 가장 많은 중부 차이낫(Chainat)주에 2018년 설치됐다.

공중포집기 시범 운영 결과, 포집 영상의 원격 육안식별을 통해 벼멸구와 흰등멸구의 비래 현황과 시기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2019년에는 포집 높이를 2m에서 10m로 높여 장거리 이동 멸구류를 관찰할 수 있도록 보완했다.

베트남과 태국에서 실시간 수집된 정보는 각 국의 멸구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국내 멸구류 비래 실시간 감지 시스템과도 연계해 병해충 이동 경로 분석이 가능해짐에 따라 국가 간 공동대처로 실질적인 방제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 작물보호과 김현란 과장은 “이러한 성과를 다른 아시아 국가와도 공유해 외국에서 날아오는 해충의 실시간 이동 경로를 감시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지속해서 구축해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태국 현지에서 스마트 공중포집기를 운영하는 담당자 체렛 셔누(Chairat Channoo)씨는 “이동식 스마트 공중포집기 설치로 아시아지역을  이동해 날아오는 해충의 유입을 미리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라며, “앞으로 태국 내 거점지역에 추가로 설치돼 실질적인 점검이 가능해지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우유 “국내 최고의 젖소 찾는다!”
.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이 오는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간 경기도 안성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에서 ‘제11회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주최하고 서울우유 우유군검정연합회가 주관하는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는 1997년부터 시작된 낙농가 최대 축제로, 올해 11회째를 맞았다. 국내산 홀스타인 품종 젖소 중 농림축산식품부 젖소 능력검정사업에 참여하고, 유량과 건강 상태가 뛰어난 젖소를 선발해 국내 낙농산업의 우수성을 알리고, 유제품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대회는 60개 농가에서 엄선한 120두의 젖소가 출품돼 국내 최고의 젖소 자리를 두고 치열한 경합을 펼칠 예정이며, 특히 올해 11월 캐나다 ‘로얄 윈터페어 홀스타인 쇼’ 심사를 맡은 조엘 르파쥬 심사원을 초빙하여 심사 전문성을 강화한다.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는 낙농가 축제인 만큼 부대행사도 풍성하게 마련했다. 우유, 발효유, 치즈 등 유제품 시식 행사와 함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뿐만 아니라 국내 낙농산업의 기술력을 만나볼 수 있는 로봇착유기, 사료, 첨가제, 낙농기계 등 약 50여개의 낙농기자재 업체 전시회도 열린다. 또한, 낙농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