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스마트팜' 확산위한 농자재 표준화에 박차

- 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 스마트팜 ICT농기자재 '검정바우처' 지원사업에 매진

- 시제품제작 또는 제품개선 검정시험과 KC인증 비용을 바우처 방식으로 지원

- 정영환 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 사무총장 “스마트팜 국가표준 확산위한 검정바우처 지원"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 추진하는 2021년 스마트팜 ICT기자재 국가표준 확산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기업의 개발비 부담완화를 위하여 ICT기자재 검정바우처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지난해부터 시작한 검정바우처 지원사업은 2021년에도 국가표준을 적용하여 시제품을 제작하거나 제품개선을 하는 경우, 소요되는 검정 비용 및 KC인증 비용을 정부가 지원함으로써 ICT기자재의 성능과 품질향상을 촉진시키고 영세 제조기업의 개발비 부담을 줄여 나가는데 목적이 있다.

 

검정바우처 지원대상은 스마트팜 시설원예분야 국가표준(KS X 3265∼3269)과 스마트축사 센서 국가표준(KS X 3279)을 적용하는 ICT융합 제품과 S/W 제조기업이다.

검정바우처 지원항목은 기술지도와 검정시험, KC인증이며,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한다.

 

 

기술지도는 스마트팜 ICT기자재의 국가표준적용 개발제품의 표준규격 준수여부와 검정시험 지원 대상에 대한 지도와, 검정시험에 대한 사전지도를 실시한다.

 

검정시험은 검정대상 ICT기자재의 검정기준 적합성(適否)여부를 시험·검사한다.

KC인증은 전자파 영향을 받는 ICT기자재의 전자파 인체보호기준과 적합성기준의 적부를 인증한다.

검정바우처 지원은 대상 수요기업이 보조운영기관(스마트팜산업협회)에 검정바우처 신청을 하고, 보조운영기관은 신청기업에 대하여 검정바우처를 발행한다.

 

수요기업은 검정기관(이하 KC인증기관을 포함)에 시험 및 인증 신청을 하고, 검정기관은 비용을 청구한다.

검정기관은 시험을 완료하고 수요기업에 성적서를 교부한다.

 

 

수요기업은 보조운영기관에 관련서류와 함께 소요비용을 청구한다. 보조운영기관은 수요기업에 상응하는 비용을 지급한다.검정바우처 지원대상은 국가표준을 적용하여 시제품을 제작하거나 제품개선을 한 기업으로 한다.

다만, 시설원예 표준은 2020년에 정비한 대표규격을 반영한 국가표준이 개정될 경우, 이 표준을 적용한다.

 

축산표준은 2020년 11월에 제정한 스마트축사 센서 국가표준(KS X 3279)을 적용한다.

검정시험 및 KC인증 비용은 검정시험과 · KC인증 등 담당기관의 항목별 수수료 단가를 적용한다.

 

한편, 부당한 방법으로 지원비용을 지원받을 수 없도록 관리를 강화하였다.

검정바우처 지원대상이 아닌 기업의 신청 또는 비 표준제품의 신청사례, 허위 비용 청구사례 등을 감시하여 부정수급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검정바우처 지원사업 보조운영기관인 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 정영환 사무총장은 “스마트팜 국가표준확산을 위한 검정바우처 지원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되어 기업의 기술향상을 촉진하고 검정 및 KC인증비용을 지원함으로써, 국가표준 적용제품이 농업현장에 널리 확산되어 산업경쟁력을 높여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금원,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 추가출자... 운용사 5월 27일까지 접수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이하 ‘농식품모태펀드’) 투자관리전문기관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 이하 ‘농금원’)은 민간운용사를 대상으로 5월 12일(월), 농금원에서 ‘2025년 추가 출자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설명회에는 농식품분야 투자에 관심 있는 총 22개 운용사가 참여하였다. 우선 출자사업분야에 대한 설명이 진행되었다. 출자분야는 △농식품일반(300억원), △세컨더리(300억원) 및 △민간제안(100억원) 등 3개 분야로 700억원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출자사업에는 기존 정해진 투자분야에 운용사가 지원하는 대신 운용사가 자신있는 분야를 자유롭게 제안하는 방식인 △민간제안펀드가 신설되었다. 이밖에도 농식품 전·후방 산업에 투자하는 △농식품일반펀드, 중간회수시장 활성화를 위한 △세컨더리펀드를 통해 농식품산업의 투자를 촉진하고 유동성을 확대한다. 운용사 선정을 위한 서류접수는 5월 27일까지 진행된다. 이후 1차 심사(서류 심사 및 현장 실사)와 2차 심사(운용사 제안서 PT)를 거쳐 6월 중 운용사 선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농금원 박춘성 본부장은 “새로이 도입한 민간제안펀드 등 민간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적극 활용하여 농식품산업의 혁신성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김인중 농어촌공사 사장 취임사… "사람 북적이는 농어촌 만들어"
김인중 한국농어촌공사 신임 사장이 15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취임식을 갖고 농어업과 농어촌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김인중 신임 사장은 취임사에서 “우리 농어업의 역사는 도전의 연속이었으며, 그 최일선에는 항상 농어촌공사가 있었다”라며, “그동안 쌓아온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전에 임직원과 함께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김인중 신임 사장은 ▲사람이 북적이는 지속 가능한 농어촌 조성 ▲안으로는 흔들림 없는 농업, 밖으로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농업 구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미래 농어업 기반 마련 ▲국민과 농업인에게 사랑받는 공사로 도약이라는 4대 경영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농촌다움 회복, 농지은행 확대, 밭작물 생산 기반 정비, 해외사업 확장,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체계 마련, 스마트 기술의 농업 분야 확대 적용, 국민 체감하는 성과 창출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인중 신임 사장이 30년간 쌓아온 농정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농어촌공사는 사회 전반의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어업·농어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공기업으로의 본격적인 도약을 시작하게 된다. 김인중 신임 사장의 임기는 2025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