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황주홍 의원, 20대 국회 국회의원 입법 실적 1위

법안 발의건수, 본회의 가결건수 모두 1위에 올라 입법 활동 가장 왕성

황주홍 의원, 20대 국회 국회의원 입법 실적 1

법안 발의건수, 본회의 가결건수 모두 1위에 올라 입법 활동 가장 왕성

 

국민의당 황주홍 의원(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 20대 국회  법안발의 실적 뿐만 아니라 법안의 완성도를 따지는 본회의 가결률에서 높은 성적을 얻어 전체 300명 국회의원 중 입법 활동이 가장 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사무처가 발표한  20대 국회의원별 법률안 대표발의 건수 및 처리건수 보면, 20대 국회 시작부터 2017 12 31까지 황주홍 의원은 총 222건 법안을 발의해 전체 1위를 기록했다.  

 

아울러황주홍 의원은 법안의 질적 완성도를 나타내는 본회의 처리건수에서도 총 56건으로 1위를 기록해 정량적 평가 뿐만 아니라 정성적 평가에서도 성적이 가장 높았다.

본회의를 통과한 법안을 보면 농업인 뿐 만 아니라 어업인축산인 등 농어촌 구성원들의 소득 보장을 위한 내용이 가장 많았다.

 

국내 쌀 생산량 소비 확대를 위해 단체급식을 제공하는 단체 및 법인 등이 일정한 양의 국내산 쌀을 이용하도록 하는 쌀 가공산업 육성 및 쌀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친환경농업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농업인 피해를 보상하는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안정적 직불금 재원 마련 위한 농어촌구조개선 특별회계법이다.

 

, 농업경영비 절감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적극적 조치를 요구한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전통주 산업 진흥 촉진을 위한 전통주 등의 산업진흥에 관한 법률농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반 마련하는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인삼산업 유통 활성화 지원을 향상시키는인삼산업법국내 축산물의 가격 안정을 위해 축산계열화사업자의 사육두수 모니터링 근거를 마련한 축산계열화사업에 관한법률등이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황주홍 의원은 국민 안전 관련해서도 활발한 입법 활동을 보였다대한민국 관할권 밖의 해상에서 발생하는 해적행위에서 대한민국 선원을 보호하기 위해 국제항해선박 등에 대한 해적행위 피해예방에 관한 법률안을 제정법으로 발의해 입법화하는 성과를 올렸다.  

 

또한안전한 수산물 먹거리 유통환경 마련 위한 수산물 유통의 관리 및 지원에 관한 법률조난 선박 신속한 구조대응을 위해 공유수면 점용.사용허가 면제하는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강아지 생산 공장의 문제점을 개선한 동물보호법가족단위 방문객이 많은 야영장의 흡연 금지하는 산림보호법등 민생 관련 입법안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황주홍 의원은 국회의원이 입법 활동을 성실하게 해야 하는 것은 본연의 임무인만큼 입법실적 1위라는 기록에 연연해하지 않고국민들을 위한 민생입법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법제화하는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