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서울청과, 도매시장 평가에서 최우수 평가

aT 도매시장 운영실적 평가결과, 구리농수산물공사와 서울청과㈜ 최우수등급 받아

aT, 2016년 도매시장 운영실적 평가결과 발표

구리농수산물공사서울청과최우수등급 받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여인홍)는 전국 농산물 공영도매시장 관리주체(31개소)와 유통주체(135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6년도 도매시장 운영실적 평가결과를 발표했다.

도매시장의 운영실적 평가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에 관한 법률 제77(평가의 실시)에 따라 농산물 공영도매시장의 운영 및 경영 개선 등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도매시장 관리주체인 개설자와 운영주체인 도매시장법인·공판장그리고 시장도매인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

2016년도 운영실적 평가는 최우수기관우수기관(상위 10%), 부진기관(하위 10%  50점미만)으로 선정하고 있으며득점 수준에 따라 6개 등급(S, A, B, C, D, E)으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있다.

 

2016년도 운영실적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설자는 31개 평가대상 중 구리농수산물공사가 전년에 이어 시설물 확충으로 영업환경 개선꼭지 짧은 수박 유통정책 적극 참여최소출하(경매)단위 시범사업 확대도매시장법인과 합동으로 산지 홍보 활동 등의 운영성과를 인정받아 최우수 관리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대전오정도매시장과 인천삼산도매시장 관리사무소가 우수 관리기관으로 선정되었다.

도매시장법인·공판장은 83개 평가대상 중 서울청과가 전년에 이어 공정거래질서 노력정가·수의매매 활성화 노력물류 효율화노력 등에 높은 평가를 받아 최우수법인으로 선정되었으며대전중앙청과인천농산물대양청과(), 부평농산안동농협(), 창원원협(), 합동청과충북원협청주()이 우수법인으로 선정되었다.

 

시장도매인은 52개 평가대상 중 서광유통이 거래점유율유통정보 제공노력거래실적증가율 등의 운영성과를 인정받아 최우수 시장도매인으로 선정되었으며낙연상사장원에프엔에프중원청과경방농산은 우수 시장도매인으로 선정되었다.

우수평가를 받은 기관에 대해서는 농림식품부장관 표창을 수여하고도매시장법인 등 유통주체에 대해서는 출하촉진자금 차등지원(배정증액지원금리 인하및 인센티브를 제공하며미흡 미만 평가를 받은 도매시장법인 등의 유통주체에 대해서는 3개월 이내 외부전문기관에 경영개선 컨설팅 이행재지정요건 강화 등 개설자로 하여금 지도·관리를 강화하도록 권고할 계획이다.

 

aT 관계자는 평가결과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고 앞으로 도매시장이 출하자와 소비자 보호그리고 농산물 수급 안정 기여 등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평가지표를 개선하겠다.”라며, “평가결과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과 페널티 강화를 병행하는 등 평가시스템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