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농협, 쌀 대체 사료용 벼 수확 시연회 열려

쌀 재고과잉 및 조사료 부족상황 해소 추진...경종농가·축산농가 간 농가소득 증진

농협, 쌀 대체 사료용 벼 수확 시연회 열려

쌀 재고과잉 및 조사료 부족상황 해소 추진...경종농가·축산농가 간 농가소득 증진 

농협(회장 김병원)920일 전북 김제시 전주김제완주축협 관내 벼 재배 논에서 김병원 농협중앙회장, 라승용 농촌진흥청장, 허태웅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 이건식 김제시장, 재배농가 등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료용 벼 시범재배 수확시연회를 개최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농협과 농촌진흥청이 공동주관한 금번 시연회는, 논에 사료용 벼 재배 확대를 유도하여 쌀 과잉재고를 감축하고 국내 조사료 생산 확대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특히, 쌀 대체작물로서의 성공적 정착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농협의 사료용 벼 시범재배 사업은 올해 5개 지역(당진, 강진, 고창, 김제, 고령) 30ha의 논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농협중앙회는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참여 농축협에 무이자자금 100억원을 지원하였다. 그리고 재배농가에 대한 컨설팅을 진행하고, 수확된 사료용 벼는 축산농가에 공급 후 급여 가축에 대한 사양시험도 실시하여 효과를 점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아직은 부족한 국내 사료용 벼에 대한 생산비, 소득액 등 실증적 자료를 도출하여, 농가교육 및 홍보에 활용한다. 

현재 국내의 쌀 재고량은 230만톤 수준으로 FAO(국제연합식량기구) 권장 적정재고량(80만톤)을 크게 넘어서고 있으며, 올해에도 공급과잉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농협은 쌀 과잉재고 해소를 위해 쌀 가공산업 활성화, 소비촉진, 해외 수출추진 및 대체작물 재배확대 등 다양한 사업을 실시중이다. 특히 쌀 대체작물로서 사료용 벼 사업은 축산농가의 사료비 절감과 쌀 생산 감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어 올해 봄부터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류갑희)919(), The-K호텔에서 스마트팜의 ICT 부품 및 장비 표준화를 위한 스마트팜ICT융합표준화포럼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에는 스마트팜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과 학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표준협회, 생산기술연구원, SK텔레콤, LG CNS, 농기계협동조합 등 스마트팜 개발을 위한 산학연관 전문가 100여명 참석하였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버섯 농가들 버섯배지 뒷처리 고충 심각... 폐기물 대책마련 강력 호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정읍·고창)은 8월 19일 버섯산업의 발전 방안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버섯생산자연합회(회장 김민수)와 버섯전문가를 비롯해 지역에서 버섯을 재배하는 농업인 등과 버섯산업발전을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전북버섯연구회 모준근 회장, 전북기술원 허병수 연구사와 정읍·고창의 버섯농가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 버섯생산자연합회 김민수 회장과 버섯재배 농업인들은 현행법상 버섯재배용으로 사용한 후 배출되는 버섯배지는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버섯농가가 별도의 폐기물 처리시설을 등록해야 한다. 폐기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비용은 고스란히 농가의 몫임을 지적한 후 “버섯배지를 폐기물관리법 대상에서 제외하기 위해 15년 전부터 정부에 (가칭)버섯산업발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등을 요구했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윤 의원에게 제도개선과 법제정에 힘을 보태달라고 요청했다. 한 해에 배출되는 버섯배지는 약 70~90만 톤으로 환경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적고, 사료와 비료는 물론 친환경 건축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음에도 폐기물 배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