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인기 '상종가'

농협미래농업지원센터, 12개 참여 농가에 786명 펀딩 투자금 4,483만원 모집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인기 '상종가'

농협미래농업지원센터, 12개 참여 농가에 786명 펀딩 투자금 4,483만원 모집

 

농협미래농업지원센터(원장 이대엽)NH투자증권과 공동으로 전문 크라우드 펀딩 중개업체 와디즈()와 손잡고 지난달 8일부터 910일까지 진행한 건강한 먹거리’2차 크라우드 펀딩이 성황리에 종료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2차 펀딩은 소비자가 농업인이 직접 만든 우리농산물로 올 추석명절선물을 준비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으며 농협미래농업지원센터가 엄선한 12개 농가의 우수제품을 선보였다.

올해 41차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했던 12개 농가는 투자목표금액 1,750만원의 163%에 달하는 2,852만원을 투자받았고 이번 2차 펀딩에 서도 12개의 농가가 전원 100% 완판 하여 786명의 투자자로부터 총 4,477만원의 투자금을 모아 1, 2차 펀딩을 합쳐 현재까지 총 1,369명의 투자자로부터 7,329만원 투자금이 조성되었다.

 

청년 여성농부 강보람씨의 보람찬고구마의 경우 당초 목표금액을 훌쩍 뛰어넘는 729%(729만원)를 달성하였고 지리산피아골식품 영농조합(고로쇠된장·고추장, 대표 김미선) 646%, 농업법인 완주베리(블랙베리농축액, 대표 원보연) 524%, 해가연 농업법인(생들기름, 대표 이인선) 422%, 도움농장(발효노루궁뎅이버섯, 대표 이현선) 420%, 백산인삼 영농조합(홍삼액·수삼, 대표 김태엽) 405%를 달성하며 뒤를 이었다.

 

이대엽 농협미래농업지원센터 원장은 농부와 농산물의 진솔하고 소소한 이야기를 엿볼 수 있는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이 소비자와 생산자를 잇는 새로운 유통채널로 자리매김 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