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연구성과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고객 맞춤형 지원사업으로 재정립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류갑희)은 기존 농식품 기술사업화를 위한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과 더불어 재단의 지원사업을 재정립하여, 올해 누적 일자리 창출 820명, 제품매출액 800억원, 사업화성공률 40.6% 달성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재단은 지난해 국가 농식품 R&D 기술 및 농업현장 우수 아이디어가 사업화 될 수 있도록 ‘전주기 지원체계’를 본격 추진하여, 사업화성공률을 2010년 16.1%에서 2016년 36.9%까지 끌어 올렸으며, 지난 6년간 지원제품 매출은 619억원, 일자리 640명을 창출하는 성과를 얻었다.
지난해 ‘전주기 지원체계’를 통한 우수사례로, ㈜헬퍼로보텍(대표 오창준)은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파종로봇시스템, 분화류 이식로봇, 접목로봇 기술 등을 이전받고, R&D 사업화 기획지원 등을 통해 ’16년에 약 3.7억원의 지원제품 매출을 올렸고, ’17년에는 10.5억원 달성을 기대하고 있으며 6명의 신규고용 창출이 예상된다. 마늘파종기를 생산하고 있는 ㈜하다(대표 하종우)는 농진청 ‘마늘파종기’ 특허기술을 이전받고, 재단으로부터 시제품 개발 및 양산설비 구축사업 지원을 받아 ’16년 4.2억원의 지원제품 매출을 달성하고, 3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했으며, 올해까지 누적 신규 고용창출은 11명으로 기대된다.
최근 농식품분야 기술사업화를 위한 기술이전 수요는 점점 증가되고 있고(’10년 197건 → ’16년 994건), 재단 고객들의 설문조사 결과 기술사업화 성공을 위해서는 자금조달 지원 뿐 아니라 판로·유통 지원, 시장성 높은 기술이전 및 적합한 비즈니스모델 개발 등도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새롭게 정립한 지원사업은 농식품 특허기술의 사업화지원 분야 18개, 농식품 벤처창업보육지원 분야 4개, 농식품·농자재 수출판로지원 분야 6개, 농생명 융합기술의 상용화지원 분야 3개, 농식품부문 탄소절감·탄소거래 지원 분야 5개, 종자·종묘 보급종 생산공급 분야 3개, 민간종자기업 신품종 개발지원 분야 1개, 농기자재 및 농식품의 분석검정 서비스 분야 4개로 구성되어 있다.
재단은 올해 농식품 R&D 기술을 이전받은 업체 중 지난 3월 말까지 176개 업체를 선정하였으며, 약 100억원의 기술사업화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는 작년대비 업체는 30社(’16년 146社 → ’17년 176社), 예산은 11.8억원(’16년 88.2억원 → ’17년 100억원) 늘어난 수치이다. 재단은 사업화 지원을 강화하여 2020년까지 사업화 성공률을 45%까지 끌어 올린다는 전략이다.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