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국산 ‘표고버섯’ 알고 보니 중국산(?)

김한정 의원 국회 농해수위 국감, 수입시 검역 미흡으로 식품안전에 ‘빨간불’

국산 표고버섯알고 보니 중국산(?)

김한정 의원 국회 농해수위 국감, 수입시 검역 미흡으로 식품안전에 빨간불

중국산 표고 시장잠식으로 국산 표고농가 위기

 

원산지 표시에 국내산이라고 적힌 표고의 절반이 중국산인데도 수입검역은 부실해 먹거리 안전에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표고 재배는 기존 원목재배에서 톱밥에 첨가제를 섞어 만든 배지에 재배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특히 중국산 톱밥배지는 국내산 배지에 비해 속성재배가 가능하고 재배공간 활용성이 높아 수입량이 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경기 남양주을)에 의하면 최근 수입 톱밥배지의 수입량이 20118,171톤에서 201536,284톤으로 최근 5년간 340%이상 증가했다. 2015년에는 연간 생표고 생산량의 40%가 수입배지에서 생산된 표고로 추산되는 등 중국산 표고의 국내 표고시장 잠식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김한정 의원은 문제는 원산지 표시인데, 당초 중국산 배지에서 생산된 표고도 국내산으로 표시, 판매해 문제가 됐었다.”이후 눙식품부가 중국산 배지에서 생산된 표고를 <중국산>으로 표시하려고 했으나 결국 무산되고 국내산 톱밥배지표고는 국내산(접종·배양 국내), 수입산 톱밥배지표고는 국내산(접종·배양 (수입국))으로 표기하게 되어 여전히 원산지 표시가 명확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김한정 의원은 중국산 톱밥배지는 중국에서 만들어지고 종균의 품종 특성도 모르기 때문에 농약과 중금속 성분 등이 포함돼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수입시 검역은 미흡한 상태이다.”이런 상태에서 원산지에 대한 말바꾸기 행정으로 소비자들이 국내산으로 표시된 표고를 믿고 구매할 수가 없게 됐다.”고 지적했다.

 

또 김한정 의원은 이로 인해 표고 수요가 감소하고 중국산 표고가 경제성을 앞세워 국내 시장을 더욱 잠식한다면 표고재배농가가 토종표고생산을 포기할 우려가 있다.”그럼에도 주무기관인 산림청은 표고종균의 보호를 위한 조치는커녕 수입배지를 사용하는 농가에 대한 현황파악도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한정 의원은 버섯종균배지 수입시 검역을 강화해 국민의 먹거리 안전을 지켜야 한다.”또 명확한 원산지 표시기준을 도입해 국내산 표고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표고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해 토종표고 종균을 보호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기동취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국내 최대 과일축제!...'2025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 11월 27일 개막
국내 과수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과수 전문 박람회, 제15회‘2025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이 오는 11월 27일(목)부터 29일(토)까지 3일간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개최된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과수농협연합회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전국 주요 과수주산지농협과 과수농가, 연구기관, 유통업체, 소비자 단체 등이 함께 참여해 과수산업의 미래 발전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교류의 장으로 마련됐다. 올해 박람회는 전국 각지에서 생산된 신선한 과일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미! 흥미! 꾸러미!라는 3미전략을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수 있는 다양한 전시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행사기간동안 ▶올해 최고의 과일을 선발하는 2025년 대표과일선발대회 시상식, ▶다양한 신품종 과일을 맛볼 수 있는 신품종 팝업스토어, ▶유명가수 축하공연 및 과일요리대회, ▶싱싱하고 저렴한 과일직거래장터 등이 운영된다. 특히 올해에는 우리과일의 새로움을 기대할 수 있는 과일칵테일바, AI 사진관, 우리과일 실감체험, 과일 탐험대 등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단위 관람객들이 즐기면서 국산과일을 자연스럽게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