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새마을 운동 연계 개도국 대상 시범 마을 조성시켜

지구촌 빈곤 퇴치 위해 양계‧양파‧우량종자 증식 등 농업 기술 보급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지구촌 새마을 운동과 연계해 캄보디아, 필리핀, 스리랑카 3개 나라에 맞춤형 농업 기술을 보급과 새마을 지도자 양성, 농가 소득 증대를 돕는 시범 마을을 조성한다.


시범 마을 조성 사업은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에서 실증된 기술을 투입하며, 현지 농가에서 직접 참여하는 사업이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2년간 맞춤형 기술 지원으로 캄보디아에서는 병아리 초기 생존율을 기존 사육 방식보다 23.1% 높였고, 스리랑카에서는 양파 우량종자 증식·보급 실증 시험을 통해 1ha350kg종자를 생산했다. 또한, 필리핀에서는 한국 품종의 벼 재배 실증 시험을 거쳐 2개 농가 0.5h에서 쌀 2.2톤을 생산했다.


캄보디아에는 고소득 양계 생산 마을을 조성한다. 3개 마을 70농가를 대상으로 병아리 생존율 증대, 사육기간 단축 등 양계 기술은 물론, 공동구매·출하 등 유통 방법을 전수한다. 이를 통해 농가 소득을 약 20%까지 높일 계획이다.


스리랑카에는 양파 종자 증식·보급 생산 단지를 조성한다. 양파 생산량의 90%를 차지하는 3개 주산지에서 총 40농가에 우수 종을 선발할 수 있도록 종자 생산 체계 확립과 수확 후 관리 기술 개발, 종자 보급·유통 체계 구축을 돕는다.


필리핀에는 벼 우량종자 생산 마을을 조성한다. 벼 주산지인 보홀, 일로일로를 포함한 3개 주 70농가에 육묘, 비료주기 등 다수확 종자 생산 기술로 증식한 우량종자를 현지 농가에 보급한다. 이번 마을 단위 시범 사업을 선도할 새마을 지도자는 국내 연수를 통해 양성할 예정이며, 나라별 현지 연구·지도 전문가는 농촌진흥청 소속기관에서 초청 훈련을 통해 전문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원활한 시범 마을 조성을 위해 현지 공무원과 농민들에게 농업 기술 전수 순회 교육도 병행한다. 특히, 마을의 자립 역량을 높이기 위해 참여 농가의 소득 중 일부는 마을의 자조·자립 기반을 구축하는 자조금으로 쓰일 예정이다. 자조금은 마을 단위 농업인 단체와 생산자 조합을 함께 육성해 농가소득 향상을 지속적으로 높일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이양호 청장은 앞으로 새마을 운동을 연계한 시범 마을 조성 사업을 2017년까지 10개 나라로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원조 대상국의 농가 소득 향상과 마을의 자조·자립 기반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라고 전했다. 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신유통토론회...'지방소멸시대, 지역농협의 역할'
농촌살리기현장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이사장 이동필)과 농식품신유통연구원(이사장 원철희, 원장 김동환)은 최근 aT센터에서 ‘지방소멸시대 지역농협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제106차 신유통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방소멸시대를 맞이하여 농촌 인구 감소 현상이 지역농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개최하였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23년 2월 기준 소멸위험 시군구는 118곳으로, 전체 228개 시군구의 52%를 차지한다. 고령사회 진입과 청년인구 유출은 지방소멸의 중요한 원인이며, 한국의 소멸위험지역이 인구 50만의 대도시와 대도시 원도심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뿐만 아니라 지역농협을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심층적인 논의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기조발제에서 이동필 농촌살리기현장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은 농촌소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농협이 지역사회 발전에 중요한 행위자로 보다 적극적으로 기능할 필요가 있으며, 협동조합의 정체성에 기반하여 지역과 조합원 수요에 부합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했다. 김태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시니어이코노미스트는 ‘일본 지역농협의 대응사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