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비료·사료’ 구입에 농민들 여전히 ‘큰 부담!’

박민수 의원 “농가부채 1,710배 늘어나 경영비 감소대책 절실하다”

비료·사료구입에 농민들 여전히 큰 부담!’

박민수 의원 농가부채 1,710배 늘어나 경영비 감소대책 절실하다

새정치민주연합 박민수 의원(진안, 무주, 장수, 임실)이 농림축산식품부의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1970년부터 약 45년 사이에 농업소득 증가율보다 농가부채 비율이 3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농업소득 향상 및 농가부채 경감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소득은 1970194,000원에서 201310,035,000원으로 51배 정도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동안 농가부채는 16,000원에서 27,363,000원으로 무려 1,710배 가량 증가해 농가부채 증가율이 농업소득 증가율보다 30배 이상이나 됐다.


농업소득, 농업 외 소득을 비롯해 농가의 모든 소득을 합한 농가소득 증가율 역시 농가부채 상승률에는 턱없이 미치지 못했다. 동일 기간 농업외 소득은 62,000원에서 15,705,000원으로 253, 농가소득은 256,000원에서 34,524,000원으로 134배 증가하는 수준에 그쳤다. 농가부채 상승률이 농업 외 소득보다 6.75, 농가소득보다 12.7배 더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농업경영비는 197054,000원에서 201320,613,000원으로 382배나 뛰어 농업경영비가 농가소득 증가율보다도 훨씬 가파르게 나타나 농업경영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책이 없으면 농가소득이 큰 의미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농업소득 역시 경기도 7,737,000원보다 약간 많은 7,892,000원으로 꼴찌에서 두 번째를 면치 못했다. 경상북도가 14,226,000원으로 가장 높고, 강원도가 11,701,000, 전라남도 10,665,000, 제주도가 10,037,000원 순이다. 전라북도는 농업의존도가 25.57%로 제주도의 24.11%보다 높지만 1인당 농업소득은 210만원이나 적다.

박 의원은 "농가소득이 아무리 높아도 농업경영비율이 높으면 농가소득이 작아질 수밖에 없고, 농가부채가 높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정부는 비료나 사료 가격 안정 및 농업기계화율, 농업기반 정비에 예산을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