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협,“K-POP! 이젠 K-FOOD!” 농식품 한류 질주 시작!

이상욱 농협 농업경제대표 경기지역 쌀 가공품, 화훼 수출농협 점검

농협,“K-POP! 이젠 K-FOOD!” 농식품 한류 질주 시작!

이상욱 농협 농업경제대표 경기지역 쌀 가공품, 화훼 수출농협 점검

연도 중 2500억원 자금지원 계획1백만불 이상 수출농협 확대 육성

 

농협중앙회 이상욱 농업경제대표이사는 320일 경기도 화성시 정남농협(조합장 우재덕)과 고양시 한국화훼농협(조합장 강성해)을 방문하여 임직원을 격려하고, 수출사업 참여농가와 사업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최근 세계 각 국가와의 자유무역협정 체결, 대용식품 범람 및 인스턴트 식품 선호현상 등으로 국산 신선농산물의 소비활성화가 시급한 가운데, 농협중앙회는 수출을 통한 국산농산물 판로를 적극적으로 개척하고 있다.

농협중앙회의 집계결과에 따르면 2014년 국가전체 대비 농협의 수출비중은 파프리카 96%, 86% 화훼류 73% 등 신선농산물(과일, 채소, 버섯, 화훼류) 수출실적의 총 48%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배의 경우 지난해 미국 신시장 개척으로 2013년 대비하여 48.6% 성장한 45백만 불 수출실적을 달성하였으며, 중화권 수출 증대를 통해 인삼과 유자차 각각 29.1%, 65.3% 성장을 보였다.

농협중앙회 관계자에 따르면 수출초기 위험부담을 농협이 지원하여 조기 정착시키는인큐베이션 사업추진 수출국가 온라인 및 홈쇼핑 진출을 통한 마케팅채널 다양화 품목별 틈새시장 발굴 및 수출국 다변화 프로젝트 이행 등 공격적으로 해외시장을 진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올해까지 매출액 1백만 불 이상의 수출농협을 전년대비 32% 증가한 100개소로 확대·육성하기 위해 25백억 원의 수출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농협중앙회 이상욱 농업경제대표이사는 세계적 흐름인 시장개방을 막을 수 없다면 우리가 먼저 상대국가의 문으로 들어갈 방법을 찾아보자고 전하면서수출지원 조직 확대 및 수출손실의 전략적 보전으로 우리 농가를 보호하고 수출 증대를 기필코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방문한 정남농협은 유기농 쌀 및 떡 가공품을 홍콩과 영국 등에 수출하는 대표적인 수출농협이며, 올해 상반기에는 중국으로 수출국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화훼농협은 일본, 중국, 러시아, 호주, 미국,네덜란드 등 세계 각지에 활발한 화훼 수출로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실시하는 2014년도 산지유통사업 최우수 조직으로 선정되었고, 15회 농식품 수출탑을 수상한 바 있다. 기동취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