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조합중앙회 중부권 청사이전 유치경쟁 후끈 달아 올랐다

중부권 지자체간 해당 지역으로 중앙회 유치를 위해 치열한 물밑 경쟁중

  

45만 명의 조합원 및 200만 산주, 그리고 전국 142개 지역산림조합을 이끌고 있는 산림조합중앙회(회장 이석형)는 최근 현 서울시 송파구 삼전동에 위치한 산림조합중앙회 청사를 중부권 지자체로 옮기는 것을 계획함에 따라 해당 인근 지역 지자체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산림조합중앙회의 청사이전 계획은 19대 산림조합중앙회 회장으로 당선된 이석형 회장의 선거공약임과 동시에 대전시에 위치한 산림청과의 적극적인 업무 및 유대관계 확립을 통해 임업인의 소득증대와 권익향상 그리고 산림조합의 성장발전을 위해 검토되어 왔으며 그동안 전국 산림조합 조합원들의 핵심 숙원 사업으로 현재 청사이전을 적극 검토 계획을 수립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이석형 신임회장의 청사이전 계획 수립과 관련하여 청사이전 대상지역으로 알려진 중부권 지자체들 또한 해당지역으로의 청사유치를 위해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좋은 조건의 유치 제안과 함께 중앙회 청사이전을 위해 적극적인 유치전에 돌입하여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산림조합중앙회는 미래의 후손들에게 물려줄 우리의 귀중한 자산인 산림의 미래가치 창조를 목표로 산림자원 조성, 산림경영기반 구축, 임산물 유통, 상호금융, 해외산림개발 등 지속가능한 산림경영과 우리나라 임업발전을 위해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중부권 이전청사는 약 3,000여명의 전국 산림조합 직원들의 보금자리이자 100여개 임업관련 조직의 둥지로서 대한민국 임업발전의 요람이 될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