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똑똑한 공장, 김치 혼합공정 자동화

세계김치연구소, '김치 양념 속 넣기 자동화 장치' 개발 및 상용화

 

세계김치연구소(소장 직무대행 최학종)는 국산 김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김치 생산 자동화의 일환으로 ‘김치 양념 속 넣기 자동화 장치’를 개발하여 본격 상용화에 나섰다.

 

김치는 최근 영양학적 우수성이 널리 알려지면서 전 세계인의 관심을 받고 있지만 국내 김치산업은 최저임금 인상, 생산원가 상승 등 여러 요인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김치의 제조공정은 절임, 세척, 양념 혼합, 포장 등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고된 노동의 과정이다. 그중에서도 배춧잎을 한 장씩 벌려서 양념하는 포기김치의 양념 혼합 과정은 가장 많은 인력이 투입되지만 기계화 자체가 어려워서 김치 생산 자동화에 가장 큰 걸림돌이었다.

 

이에 세계김치연구소 정영배 선임연구원은 김치의 양념 혼합 공정을 효율화하기 위해 김치 양념 속 넣기 자동화 장치를 개발하여 지난 2017년 김치제조업체에 기술 이전하였으며 이를 김치공장에 적용해 본격적인 상용화에 성공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양념 혼합 장치의 경우 단순 버무림 기능에 불과하여 맛김치와 같은 썰은 김치에 제한적으로만 사용이 가능했다. 그러나 본 기술은 양념혼합장치에서 경사회전식(slope rotation blending) 혼합조 내부로 일정한 점도의 양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절임배추에 골고루 혼합될 수 있도록 고안하여 수작업 대비 양념 혼합 완성도가 90% 수준에 달한다.

 

특히 김치 10톤 이상을 생산할 때 양념 혼합 공정에 필요한 인력이 보통 16명인데 반해 본 장치를 도입하면서 3~4명 수준으로 줄게 됐다. 또한, 시간당 김치 생산량으로 보면 기존 수작업(280kg) 대비 2,500kg으로 9배 가까이 생산성이 높아진 셈이다.

 

김치산업 종사자는 대부분 50~70대로 고령화에 따른 인력난이 심각한 현 상황에서 본 자동화 기술은 김치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나아가 단순 반복 노동은 최소화시키고 디지털화하여 한국형 뉴딜 정책과 맞닿은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세계김치연구소는 양념 제조 방법에 따른 건식‧습식 재료별 맞춤형 혼합 공정뿐만 아니라 계량, 공급, 이송 등 모든 공정을 디지털화하여 완전한 김치 생산 자동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세계김치연구소 최학종 소장 직무대행은 “본 기술을 통해 상품김치의 제조원가 절감과 품질 균일화를 동시에 실현함으로써, 국내 김치 시장 활성화는 물론 세계 시장에서 김치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