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조합발전자문위원회 발족

각 분야 전문가 중심으로 현장중심의 산림경영 및 정책 소통의 장 마련

 

산림조합중앙회(회장 최창호)는 지난 7월 1일 서울 송파구 소재 산림조합중앙회 회의실에서 각 분야 전문가 중심으로 구성된 산림조합발전자문위원회 발족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산림조합발전자문위원회는 금년 9월 도입 예정인 전문경영인 사업대표이사체제에 맞추어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산림조합 주요사업 및 정책방향 설정에 반영하고자 발족되었다.

 

특히 위원회를 구성함에 있어 내부위원의 비중을 최대한 줄이고 임업인지원, 산림정책, 기술·교육, 조직운영 등 4개의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산림조합의 당면현안과 미래상에 대한 자문을 받아 문제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변화와 혁신을 추진할 예정이다.

 

자문위원은 내부위원으로는 최준석 부회장, 조성미 기획전략상무, 이성권 경제사업상무, 김용배 상호금융상무이며, 외부위원으로는 박정희 한국산림경영인협회 회장, 최무열 한국임업후계자협회 회장, 최재관 前 대통령비서실 농어업비서관, 강대재 前 산림조합중앙회 지도상무, 오명기 前 메리츠화재해상보험(주) 보상본부장(상무), 최정기 한국산림과학회 회장, 조계중 국립순천대학교 교수로 구성되며 최준석 부회장이 위원장을 맡게 된다.

 

이 날 위촉식에서 최창호 산림조합중앙회장은 “58년의 역사를 지닌 산림조합도 이제 급변하는 시대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면 도태될 수 밖에 없다는 확고한 신념으로 위원회를 구성하게 되었다”고 말한 뒤,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들의 자문 및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변화와 혁신을 추진하고 협동조합 본연의 역할인 산주와 임업인을 위한 새로운 산림조합이자 국민들로부터 신뢰받는 조직으로 만들어 나가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오현승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