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육우자조금, 매력 만점인 우리육우 언박싱 리뷰어 모집

오는 6월 4일까지 육우의 매력을 탐구할 “우리 육우 언박싱 리뷰어 모집”
육우데이 기념해 저지방 웰빙 소고기 ‘육우’ 직접 시식해볼 수 있는 기회 마련하고자 기획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박대안)는 맛, 건강 가성비, 웰빙를 모두 갖춘 국내산 소고기 육우의 매력을 탐구할 “우리 육우 언박싱 리뷰어 모집”을 오는 6월 4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이벤트는 2020 육우데이 기념해 소비자들에게 저지방 웰빙 고기인 우리 육우를 직접 시식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기획되었다. 성장이 빠른 육우는 사육기간이 짧아 육질이 연하고 지방이 적으며,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하다. 더불어 육우는 도축 즉시 냉장 유통되기 때문에 신선한 것이 매력이다.

 

‘우리 육우 리뷰어’ 이벤트는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 공식블로그를 통해 참가신청을 받으며, 신청기간은 5월 28일부터 6월 4일까지이다. 총 30명을 선정해 리뷰에 필요한 3만원 상당 제품을 1차로 배송하고, 후기 완성 후 동일제품을 2차 배송한다. 자세한 내용은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 홈페이지 혹은 공식 블로그를 참고하면 된다.

 

한편, 육우자조금에서는 집밥족을 위한 육우 요리 영상 10종을 제작해 5월 21일부터 매주 목요일에 순차로 공개하고 있다.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 공식 홈페이지 및 SNS채널(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을 비롯해 유튜브, 우리육우 쇼핑몰, 카카오TV 등에서 확인 가능하다.

 

 

박대안 육우자조금관리위원장은 “2020년 육우 유통활성화 목표에 맞춰 다가오는 육우데이는 육우농가와 소비자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로 준비되고 있으며 관련정보는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 공식 홈페이지, 카카오톡 등을 통해 확인가능하다.” 며 “일년 중 육우농가에게 가장 특별한 날인 육우데이를 많은 분들이 함께 즐기고 접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꿀벌 폐사 예방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꿀벌 폐사 예방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