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새로운 조직문화로 탈바꿈하는 '협동조합'

농협중앙회 ‘비전 2025’ 선포와 함께 新조직문화 구축을 위한 변화 시도 중
'애자일' 조직으로 유연성과 민첩함을 더하다!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되는 언택트(Untact) 시대에 발맞추어 많은 기업들이 화상회의나 온라인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언택트란 콘택트(Contact, 접촉하다)에 부정의 의미인 언(Un-)을 합성한 단어로 비대면·비접촉을 뜻한다. 그러나 언택트는 관계를 끊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소통을 위한 연결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이러한 현상은 코로나 이후의 삶에도 새로운 표준인 ‘뉴 노멀(New normal)’이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농협(회장 이성희)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협동조합 조직이다. 따라서 이러한 ‘뉴 노멀’에 가장 적합한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민첩함을 더해 조직 문화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한창이다.

 

농협 인재개발원은 부서 내 애자일(Agile) 조직인 7개의 셀(Cell)을 운영하고 있다. 애자일 조직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고객의 다양한 수요에 유연하고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경영방식으로 이미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 글로벌 기업들이 도입한 바 있다.

 

농협의 애자일 조직도 팀 간의 경계를 허물고 과제 중심의 수평적 의사소통을 통해 빠른 성과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농협은 지난 11일 ‘함께하는 100년 농협’이라는 ‘비전 2025’를 선포하며 협동과 공유의 가치를 더욱 강조했다. 인재개발원 전용석 상무는 “뉴 노멀 시대에 새로운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부서 내 스몰 토크(small talk)와 지속적인 협업(collaboration)을 통한 공감대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농협 비전 2025의 실현은 애자일 조직과 같은 변화를 위한 다양한 실천으로부터 비롯된다”고 말했다.

 

농협 인재개발원은 매월 ‘월간 NH HRD포럼’을 실시하여 애자일 조직을 이끌고 있는 셀 리더들의 과제추진 현황을 공유하며 소통하고 있다. 또한 급증하는 온라인교육 수요에 맞추어 제작한 우수 마이크로러닝 디지털 콘텐츠를 시연하는 한편, 교양문화특강 및 글로벌 교육을 주제로 자유로운 토론을 실시하기도 한다.

 

앞으로도 농협은 뉴 노멀 시대에 새로운 비전과 함께 조직 문화를 혁신하여 농업인이 희망을 꿈꿀 수 있는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의 미래상인 ‘농토피아(農Topia)’를 구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변화를 시도할 예정이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진청, ‘현장이 바라는 농촌공간계획’ 전문가 의견 모은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전북특별자치도와 함께 8월 26일 본청에서 ‘현장에서 바라본 농촌공간계획의 효율적 추진 방안’을 주제로 ‘농촌다움 공개토론회’를 열었다. 2022년부터 시작해 이번에 12회를 맞은 농촌다움 공개토론회에서는 그동안 농촌공간재구조화법 제정, 농촌 소멸 등 농촌 현안과 관련된 쟁점을 논의하고 공감대를 형성해 왔다. 특히 올해는 농촌공간재구조화법 시행(2024년 3월)에 따라 139개 시군이 농촌공간기본계획을 법정계획으로 본격 수립하면서 현장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이에 따라 실제 공간계획을 수립하는 지자체 담당자, 농촌공간기초지원기관, 산업체, 정책 담당자, 학계 등 약 1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총 5건의 주제 발표가 있었다. 이날 주제 발표는 ∆농촌공간계획제도 설명 ∆농촌공간 광역‧기초지원기관 역할 및 활성화 방안 ∆KRC농촌공간계획 종합지원 TF 운영 현황 및 농어촌 체류형 쉼터 사례 발표 ∆지역 특성을 고려한 농촌특화지구 지정 및 운영 방향 ∆순창군 농촌공간 기본계획과 특화 지구 사례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농촌진흥청, 농림축산식품부, 전북연구원, 한국농어촌공사, 국토연구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NH농우바이오, 9월 씨앗 파종 앞두고 ‘신세계꿀’ 신품종 추천
NH농우바이오가 9월 씨앗 파종을 앞두고 ‘신세계꿀’ 신품종 등 우수 품종들을 추천해 눈길을 끈다. 이번에 NH농우바이오의 9월 추천 품종은 신세계꿀 참외, 시너지꿀 참외, 산타꿀 수박 품종 등이다. 농우에서 내세우고 있는 품종별 특징이다. <편집자> ◈ ‘신세계꿀’ 신품종 참외 NH농우바이오가 2025년 새롭게 선보이는 신품종 참외 신세계꿀은 흰가루병에 강해 재배 안정성이 뛰어나며 과형이 안정된 고품질 참외이다. 초세가 비교적 강하고 암꽃 발현과 착과력이 우수한 품종이며, 과형이 중과종이고 단타원형으로 안정되어 있어 균일한 수확이 가능하다. 과피색은 진한 황색을 띠며 과골이 선명하고 기형과 발생이 적어 상품성이 뛰어나다. 과육은 흰색으로 육질이 치밀하고 아삭하며 당도가 높고 향이 있어 식미가 우수하다. 흰가루병에도 강해 향후 농가소득 증진에 기대가 되는 품종이다. ◈ ‘시너지꿀꿀’ 신품종 참외 NH농우바이오가 2025년 새롭게 선보이는 신품종 참외 시너지꿀은 흰가루병에 강해 재배 안정성이 뛰어나며 과색이 진한 고품질 참외이다. 과크기는 중과종이며 과형이 H형으로 안정되어 있어 균일한 수확이 가능하며 과피색이 진한 황색으로 과골이 선명하며 상품성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