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등검은말벌’ 개체 수 급증

농촌진흥청 '말벌' 전국 실태파악..."기후변화로 등검은말벌 늘고 다른 말벌은 줄어"
'등검은말벌' 비율 2018년 49%→2019년 72%… 퇴치 위한 연구 지속 필요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기후변화가 농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안동대학교 정철의 교수팀과 함께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2년간 말벌 전국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말벌은 꿀벌을 공격해 양봉 농가에 큰 피해를 입히고, 주로 8∼10월에 활동이 활발해져 농작업과 야외활동이 잦은 여름과 가을철 주의대상이다.

특히 등검은말벌은 2019년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된 외래침입종이며, 그로 인한 피해액은 연간 약 1,700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번 조사는 전국을 대상으로 2018년 272지점, 2019년 280지점에서 이뤄졌으며, 채집된 말벌은 2018년 14,991개체, 2019년 11,562개체이다.

조사 결과, 전체 말벌 개체 수 중 등검은말벌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8년 49%에서 2019년 72%로 크게 증가했다.

 

등검은말벌의 전국 분포 특성을 보면 경남, 전남, 부산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개체 수가 증가했다. 특히 광주, 울산, 대구 등에서 증가 폭이 컸으며, 개체 수가 적었던 고위도 지방인 강원도, 경기도, 서울에서 증가 추세가 뚜렷했다.

또한 2018년과 비교해 2019년에는 등검은말벌과 황말벌의 비율은 증가했고, 장수말벌, 말벌, 꼬마장수말벌 등은 줄었다.

 

농촌진흥청은 등검은말벌에 의한 양봉농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 등검은말벌집 탐색 기술, 드론 이용 등검은말벌 약제 살포 장치 등 첨단기술 활용 방제 방법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봄철 유인트랩을 이용한 여왕벌 집중 방제, 여름과 가을철 주요 발생기 방제를 비롯해 개체 포살, 말벌집 제거, 그물망 설치 등 다양한 방법으로 등검은말벌을 퇴치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기후변화생태과 정구복 과장은 “기후변화 영향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말벌류의 분포 변화를 계속 관찰할 계획이다.”라며, “이번 연구 결과가 꿀벌과 양봉농가에 대한 말벌류의 피해 방지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오현승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진원, 지역농협과 손잡고 폭염 안전캠페인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최근, 전북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익산원예농협 본점에서 익산원예농협과 공동으로 폭염 대응 및 기후 재난 예방을 위한 안전 캠페인을 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늦더위가 일상화되면서, 기후 재난으로부터 국민과 농업인의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농진원은 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과 지역 중심의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해 이번 캠페인을 마련했다. 이번 캠페인에는 농진원 및 익산원예농협 직원 등 관계자 15명과 지역 주민들이 동참했다. 현장에서는 농업인과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응급조치 요령이 안내됐으며, 폭염 상황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폭염 안전 5대 수칙’을 중심으로 한 홍보 활동이 전개됐다. 이와 함께 양산, 생수, 보냉컵 등 폭염 대응을 위한 안전 물품이 배부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폭염 안전 5대 수칙’은 충분한 물 섭취, 바람과 그늘 활용, 규칙적인 휴식, 보랭 장구 사용, 응급조치 숙지로 구성돼 있다. 또한, 농진원은 캠페인 현장에서 자체 안전 인프라와 대국민 서비스를 함께 소개했다. 종합분석동 로비에 마련된 무더위 쉼터 운영 상황을 공유하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