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신종 전염성 가축질병’ 국내 유입위험 경고!

농림축산검역본부, AHS 국내 동물질병 매개체 모니터링 강화로 질병 사전차단
태국 아프리카마역 발생에 따른 모니터링 대상 확대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는 ‘신종 매개체성 전염성 가축질병’의 국내 유입 위험성이 높아짐에 따라 5월부터 ‘동물질병 매개체 모니터링 사업’을 실시하고 감시 대상을 말 농장으로 확대하는 등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검역본부의 이번 강화조치는 지난 3월 27일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동아시아지역 최초로 보고된 태국 아프리카마역 발생에 따른 것이다.

아프리카마역(African Horse Sickness, AHS)은 말에서 폐사율이 최고 95%까지 나타날 수 있는 악성 매개체성 질병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가축전염병상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OIE에서도 관리대상 질병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 질병의 주요 매개체인 등에모기(Culicoides biting midge)는 흡혈성 곤충으로 아프리카마역뿐만 아니라 블루텅병, 아까바네병 등의 동물 질병을 매개한다. 등에모기는 기류를 타고 장거리 이동(국가 간, 대륙 간)이 가능하고, 최근 기후변화로 매개체 서식지가 확대 되는 등 곤충의 생태가 변화하고 있어 등에모기가 매개하는 질병의 국내 유입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검역본부는 지난 2012년부터 신종 동물 질병과 이를 옮길 수 있는 매개체의 국내 유입을 감시하기 위해 매년 전국 공·항만 및 가축농장을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시행해왔다. 특히 올해 5월부터는 지난 3월 태국에서 아프리카마역이 발생함에 따라 한국마사회의 협조를 받아 제주, 부산 등에 위치한 5개 말 농장을 추가하여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다.

 

검역본부 강해은 해외전염병과장은 “작년 9월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처럼 신종 감염성질병은 언제든 국내로 유입되어 직·간접적인 경제적 피해를 줄 수 있어 철저한 국경검역을 통한 질병 유입 차단과 적극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매개체성 질병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진원, 지역농협과 손잡고 폭염 안전캠페인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최근, 전북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익산원예농협 본점에서 익산원예농협과 공동으로 폭염 대응 및 기후 재난 예방을 위한 안전 캠페인을 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늦더위가 일상화되면서, 기후 재난으로부터 국민과 농업인의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농진원은 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과 지역 중심의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해 이번 캠페인을 마련했다. 이번 캠페인에는 농진원 및 익산원예농협 직원 등 관계자 15명과 지역 주민들이 동참했다. 현장에서는 농업인과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응급조치 요령이 안내됐으며, 폭염 상황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폭염 안전 5대 수칙’을 중심으로 한 홍보 활동이 전개됐다. 이와 함께 양산, 생수, 보냉컵 등 폭염 대응을 위한 안전 물품이 배부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폭염 안전 5대 수칙’은 충분한 물 섭취, 바람과 그늘 활용, 규칙적인 휴식, 보랭 장구 사용, 응급조치 숙지로 구성돼 있다. 또한, 농진원은 캠페인 현장에서 자체 안전 인프라와 대국민 서비스를 함께 소개했다. 종합분석동 로비에 마련된 무더위 쉼터 운영 상황을 공유하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