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밭농업용' 관정 30만개?...밭용수 대책시급

논 중심 농업에서 밭 중심으로 점차 전환 중 지난해 밭 면적, 전체의 47.1%
밭 용수, 그 동안 무분별한 지하수 관정개발 위주... 생산기반 정비율은 16% 불과
박완주 의원 “밭기반정비사업 지방이양 우려” “안정적인 밭용수 확보방안 모색해야”

농업의 추세가 기존의 ‘논농사’위주에서 ‘밭농사’로 다변화되고 있으나 이를 대비한 기반 여건은 턱없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쌀 위주의 논농사가 주를 이뤘고 이를 위한 농업용수로 저수지, 하천수, 빗물 등을 활용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논 면적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대신 특용작물, 시설재배 등 밭작물 재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의 경우 논 면적은 84만ha로 전체의 52.9%를 차지했고 밭 면적은 75만ha로 전체의 47.1%를 차지했다. 전체 경지면적 중 밭 면적 비중이 36.2%에 불과했던 1990년과 비교하면 지난해 밭 면적 비중은 11%가량 상승한 수치다.

 

그러나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 천안을)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논에 용수공급을 설치한 비율은 전체의 82%에 달하고 있는 반면 밭의 경우, 전체 밭 면적의 16.1% 밖에 추진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및 지자체의 농업 생산기반 정책도 논 위주였고, 밭 용수를 위한 기반정비율은 낮았다는 의미다.

이로 인해 대다수의 밭작물 재배 농업인은 땅에 관정을 뚫어 지하수를 사용해왔다. 특히 최근에는 시설재배가 2014년 50,210ha에서 지난해 69,567ha로 38.55% 가량 크게 증가하는 등 수질오염에 취약한 저수지와 하천수를 대체하여 양질의 수질인 지하수의 이용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환경부에서 발간한 2018 지하수조사연보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밭관개용’ 지하수 관정은 생활용, 공업용, 기타 농업용을 포함한 국내 전체 관정의 17.19%를 차지해 29만 485공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량만 한해 7억 5,199만 톤이다.

 

정부가 밭작물의 재배기반 조성에 아예 손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정부는 1994년부터 주산지 및 집단화된 밭을 대상으로 한 ‘밭기반정비사업’을 추진해왔다. 밭에 용수공급 시설과 도로 등을 설치하는 사업이다.

 

해당 사업은 ‘농어촌구조개선특별회계’체제였던 2004년 이전에는 연평균 시행면적이 5,810ha, 연평균 집행 예산은 1,405억 원에 달했다. 그러나 지자체 수요중심의 ‘균형발전특별회계’로 전환된 2005년 이후에는 연평균 시행면적이 3,921ha, 집행사업비는 965억 원으로 각각 32.5%, 31.3% 씩감소했다. 지자체의 사업 의지에 따라 실적이 크게 달라졌다는 의미다.

 

이런 가운데 해당 사업이 내년부터 아예 지자체로 이양되면서 밭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기에 본 사업이 축소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박완주 의원은 “지자체에서 밭기반정비사업을 제대로 시행할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며 “현재 농업의 추세가 점점 밭작물 위주로 전환되고 있으나 이를 위한 생산기반 및 제도는 매우 미흡하다”고 우려했다.

 

이어 박 의원은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기관이 지역별 특성에 맞는 모델을 개발하는 등 적극 지원해야한다”며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 중심의 밭용수 공급에서 벗어나 둠벙 등 지표수를 활용한 안정적인 밭 용수 확보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금원, 혁신기업과 ‘K-푸드’ 미래 선보이다!
농업정책보험금융원은 지난 10월 29일부터 11월 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20회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2025 푸드위크 코리아)’에 참가해 홍보관을 성공적으로 운영했다.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은 농림축산식품부와 코엑스가 공동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식품산업 전문 박람회이다. 올해는 42개국 950개사가 참여해 1,532개의 부스를 운영했고, 나흘간 약 5만 5천 5백 명의 참관객이 방문하며 성황을 이뤘다. 농식품모태펀드 투자관리 전문기관인 농금원은 이번 행사에서 홍보관과 투자상담관을 운영하며 농식품모태펀드의 성과와 비전을 소개했다. 동시에 피투자기업 제품 전시를 통해 농식품모태펀드와 피투자기업의 우수 제품 및 혁신 서비스를 널리 알렸다. 피투자기업 제품전시관에는 농식품모태펀드의 지원을 받는 4개의 경영체, ▲에코맘의 산골이유식 ▲세진식품 ▲메타텍스쳐 ▲에프엘컴퍼니가 참여했다. 에코맘의 산골이유식은 자체 제조기술을 이용한 단계별 영유아용 이유식과 실온 이유식을 선보였으며, 세진 식품은 떡과 면 관련 특허 기술을 활용한 ‘떡도그’와 ‘컵볶이’ 등 레토르트 간편식을 전시했다. 메타텍스쳐는 식물성 원료를 기반으로 한 식물성 계란 제품으로 ‘계란 지단 김밥’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