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낙농은 매 순간, 순간이 위기!”

이승호 회장, 3주간의 강행군 소회 밝혀

“낙농은 매 순간, 순간이 위기! 협회가 불침번이 되겠다!”

한국낙농육우협회 이승호 회장이 순회교육 가는 곳마다 인사말에서 강조했다. 2018년도 낙농정책 순회교육이 10번째 기착지인 제주행사를 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으며, 낙농 위기 상황을 반영하듯이 여느 해보다 전국 낙농가들의 뜨거운 관심과 열기 속에 종료되었다.

한국낙농육우협회(회장 이승호)는 12월 11일(화) 제주축협 아라종합타운 대회의실에서 제주지역 낙농정책 순회교육을 개최하였다.

 

현안 토론에서 제주 역시 착유세척수 설치와 관련한 애로사항 해결을 협회 집행부에 요구하였다. 착유세척수 정화시설 설치기준 완화, 기 설치된 정화시설 활용방안, 실효성 있는 정책자금 지원이 필요하다는 건의가 있었다. 또한 연간총량제 및 100원짜리 원유 회복 건의도 이어졌다.

최근 농식품부와 식약처의 사육단계 HACCP 의무화 도입과 관련하여 우려섞인 목소리도 나왔다. 규제가 아닌 인센티브나 지원을 통해 농가가 자발적으로 HACCP을 참여토록 정책방향 전환이 필요하다는 건의가 있었다.

제주축협과 낙농 조합원간의 문제에 대해 정부 개입이나 제도적인 해결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으며, 이와 관련 전국 쿼터 단일화 및 귀속율 통일이 이뤄져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낙농특성을 반영한 FTA 피해보전직불제 및 폐업보상금 개선 건의도 있었다.

제주는 우기가 많아 조사료 생산이 겹쳐 트랙터를 비롯한 조사료 장비를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영농조합에 국한된 조사료 장비 지원을 개별농가에 대해서도 지원해 줄 것과 곤포 사일리지 제조비 지원절차(서류) 간소화도 건의하였다.

현안 토론에 같이한 임지헌 사무관은 순회교육을 같이 하면서 세척수 시설과 관련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대책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힘을 보태겠다고 답변하였다. 기준원유량(기준원유량 초과가격, 귀속율)와 관련한 낙농가간 형평성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3주간 10개 도시 순회 강행군을 마친 한국낙농육우협회 이승호 회장은 “현장 낙농가들의 늘어난 주름을 보면서 수장으로서 안타까움과 죄송함을 느꼈다”라며, “위기상황에서 협회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협회 임직원들과 다시금 구두끈을 조여 매고 낙농 불침번이 될 수 있도록 뛰겠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