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은 오는 10월 1일부로 우유 및 유제품 가격을 인상함에 있어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납품가격 인상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서울우유협동조합 관계자는 “그동안 내부 경영 및 생산 효율화를 통해 원가 상승분을 상쇄하고자 지속적인 노력을 꾀했으나, 낙농진흥회가 10월 1일부터 원유 기본가격을 리터(ℓ)당 8.8% 인상하기로 결정하였고 그동안 전기료, 인건비, 부자재 상승 등 다양한 납품가격 인상 요인이 발생한 상황이다.”라고 어려움을 전하면서도, “정부의 물가안정에 협조하는 차원에서 납품가격 인상을 최소화하였으며 이로 인해 대형마트에서 나100%우유 1L 제품은 2,900원 대 후반에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밝혔다. 또한, “편의점은 소규모 자영업자가 24시간 운영하고 수시로 1+1이나 2+1 등의 할인행사를 진행하는 특성이 있어 일반적인 유통경로보다 판매가격이 높게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했다. 실제 현재 나100%우유 1L의 판매가격은 대형마트에서 2,890원 수준, 편의점에서 3,050원 수준에 책정되어 있다. 하지만, 편의점이 할인행사를 진행함에 따라 실제 소비자 부담은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우유협동조합
낙농진흥회(회장 김선영)는 7월 27일 개최된 용도별 원유기본가격 조정 협상 소위원회 제 11차 회의에서 용도별 원유 기본가격 인상안을 합의했다고 밝혔다. 협상소위원회는 생산자측 이사 3인, 수요자측 이사 3인, 낙농진흥회 1인으로 구성돼 있다. 협상 소위원회는 음용유용 원유기본가격을 전년대비 88원 오른 1,084원, 가공유용 원유기본가격을 87원 오른 887원으로 결정하였다. - 가공유용 원유가격은 전년(800원/ℓ) 대비 87원 인상한 887원/ℓ - 이번 원유 협상가격 적용은 10월부터 다음 용도별 원유가격 조정 전까지 - 낙농진흥회 8월 10일 이사회 열어...합의사항 최종 확정 이번에 협상한 음용유용 원유는 흰우유, 발효유 등 신선 유제품에 사용되는 원료우유를 말한다. 또, 가공유용 원유는 치즈, 연유, 분유 등 가공유제품에 사용되는 원료다. 음용유용 가격은 협상범위가 69∼104원/ℓ인 상황에서 생산비 상승 및 흰우유 소비감소 등 낙농가와 유업계의 어려움을 모두 감안하였고, 가공유용 가격은 협상범위가 87∼130원/ℓ이나 수입산 유제품과의 가격경쟁을 위하여 협상 최저 수준에서 결정하였다. 또한, 물가부담 완화를 위하여 원유기본가격 인상시기를 8월
[낙/농/산/업/특/집] 위기의 낙농업...낙농가 줄 폐업 지켜만볼것인가? 지난 20여 년간 국내 유제품 소비는 증가했으나 국내 원유생산은 오히려 감소했다. 이로 인해, 해외로부터 유제품 수입이 증가했고 국산 유제품 자급률은 하락하는 등 낙농산업이 위축됐다. 1인당 유제품 소비량은(‘01) 63.9kg/인 → (’22) 85.7kg/인 이다. 낙농 원유 원료시장 변화를 보면(‘01→’22) 원유생산은 234만톤→198으로(이중 수입은 65만 톤)→253만톤으로 자급률이 77.3%에서 44.8%까지 뚝 떨어졌다. ◇ 국내 낙농산업 현황? 국산 원유의 최대 활용처인 마시는 우유의 소비는 줄어든 반면, 치즈·아이스크림·버터 등 유가공품 소비는 증가하는 방향으로 소비구조가 변했다. 앞으로도 흰우유 소비 여건은 저출산, 대체음료 확대 및 저렴한 수입 멸균유 증가 등으로 악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유 사용 현황(’22)을 보면 음용유 87.3%(시유 77.0, 발효유 8.1, 유음료 2.3), 가공유 12.7%이다. 유제품 소비구조 변화(‘01→’22)는 (시유) 36.5kg→31.9, (유가공품) 27.4kg→53.8, 멸균유 수입 현황(‘20)은 1만 1천톤에서 지
농협(회장 이성희) 경제지주는 21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농산물 산지유통정책과 자조금 사업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농산자조금 활성화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자조금 단체와 분야별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참석자들은 ▲수급안정, ▲내수확장(2개 분과), ▲수출확대 등 4개 분과로 나뉘어 품목별 현황 및 주요이슈 해결방안, 생산·유통 자율조절 실행방안 등에 대한 토론을 진행하였다. 자조금제도는 농산물 시장개방에 대응해 생산자들이 기금 마련을 통해 자율적으로 품목경쟁력을 제고하고 수급조절을 도모하자는 취지로 2000년도부터 도입되었다. 일각에서는 자조금제도에 대해 무임승차 문제, 홍보 부족 등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이번 정부 들어 의무자조금 사업이 국정과제로 반영된 만큼 생산자 중심의 자율적 수급관리가 되도록 시스템이 정비될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김영일 산지원예부장은 “이번 토론회에서 제시된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정부·자조금 단체와 협력하여 자조금 사업이 내실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농협경제지주는 ‘22년 3월부터 자조금통합지원센터로 지정되어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