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마권 ‘구매상한제’ 있으나 마나(?)… 마사회는 ‘수수방관’

박완주 의원, “구매상한제 실효성 제고 위한 대책마련 시급”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지난 10년간 구매상한제 위반 지적건수 3만 9천여 건
마권판매 2/3는 구매상한 피할 수 있는 자율발매기 판매
1인당 평균 마권구매액 지난해 60만3000원, 2014년 대비 20.6% 증가

한국마사회가 규정한 1인 1회 10만원 구매상한액이 현장에서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천안을) 의원이 마사회로부터 제출받은‘최근 10년간(2009-2018.8)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이하 사감위) 구매상한제 지적현황’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본장 및 장외발매소에서 구매상한을 초과해 마권을 구입하다 지적된 건수는 총 3만 9,940건으로 본장 1만 8,835건, 장외발매소 2만 1,105건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기준으로 사감위 1회 점검 당 평균 17건의 위반사항이 적발된 셈이다.

 

구매상한제 위반은 주로 자율발매기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자율발매기의 경우 발매원이 대면하여 판매하는 유인발매기와 달리 구매상한 위반에 대한 직접적 통제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반증하듯 이용객의 대다수가 자율발매기를 통해 마권을 구매하고 있다. 지난해 전체 마권 판매실적 중, 자율발매기를 통해 이뤄진 마권 판매액이 5조 2,756억 원으로 전체의 2/3를 차지했고, 이어 모바일 1조 6,354억 원, 유인발매기 7,965억 원, 계좌발매 939억 원 순이었다.

 

자율발매기 마권 판매비중도 증가추세다. 전체 판매 실적 중 자율발매기를 통한 판매 비중은2014년 52.83%, 2015년 57.90%, 2016년61.33%, 2017년 67.62%으로 점차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의 경우 1월부터 8월까지 지사별 자율발매기 판매 실적을 보면, 영등포가 2,259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 1,772억 원, 천안 1,652억 원, 분당 1,554억 원, 대전 1,195억 원의 순이었다.

 

이용객의 1인당 평균 마권구매액도 증가했는데, 2014년 50만원에서 2017년 60만3000원으로 3년 만에 20.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4년 50만원, 2015년 56만8천원, 2016년 58만 8천원, 2017년 60만 3천원으로 높아지고 있다.

현장에서 구매상한제가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지만, 구매상한제를 관리해야하는 마사회는 수수방관하고 있다. 사감위가 아닌 마사회가 자체적으로 구매상한제 위반을 사후적으로 적발하거나 지적한 실적은 전무했고 구매상한 준수를 위한 홍보 예산마저 줄었다.

 

마사회로부터 제출받은‘건전화 캠페인(구매상한 준수 이벤트)예산 현황’에 따르면 올해 구매상한 준수를 위한 건전화 캠페인 배정액은 900만원으로 2016년 2,221만원의 절반도 채 되지 않았다. 연도별로는 2016년 2,221만원. 2017년 1,474만원, 2018년 900만원으로 매년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박완주 의원은“사행성을 제한하고 건전한 경마문화를 선도해야 하는 마사회가 구매상한제 관리를 수수방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구매상한제의 실효성 제고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