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전망대

GS&J 쌀 가격동향 ‘상승세’ 분석자료 발표

민간 연구소, 산지 쌀값 13개월째 상승세 지속될 것 예측

민간연구소인 GS&J가 31일 발표한 쌀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7월 25일자 산지 쌀값은 80kg당 17만 7,052원으로 10일전 가격 대비 0.3%(548원) 상승하여 13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것. 산지 쌀값의 10일전 대비 상승률이 1∼3월 평균 1.0%로 높게 유지되다가 정부가 작년산 산물벼 8만 3,600톤을 RPC에 인도하고 밥쌀용 수입쌀도 방출하면서 쌀값 상승률이 4월과 5월에는 각각 0.3%, 0.2%로 낮아졌다.

 

6월 쌀값 상승률이 0.3%로 다시 높아지자 정부는 6월 26일 10만 톤을 공매하였으나 7월 5일에는 0.5%로 높아졌으며, 15일과 25일에도 각각 0.4%, 0.3% 상승하여 강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상승률은 낮아지고 있다.

산지 쌀값은 작년 6월 15일에 12만 6,640원/80kg까지 떨어진 뒤 상승세로 전환되어 현재까지 13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7월 25일자 산지 쌀값은 평년 가격 15만 6,715원/80kg 대비 13.0%(2만 337원) 높은 수준이다. 평년 동일자 대비 금년 쌀값은 1월에는 1.2% 낮았으나, 2월 5일에 상승세로 전환된 후 4월 평균 8.6%, 7월 평균 12.5%로 높아졌다.  

7월 25일자 산지 쌀값은 작년 같은 일자 가격 12만 8,500원/80kg 대비 37.8%(4만 8,552원) 높은 수준이다.

 

작년 동일자 대비 금년 쌀값 상승률은 1월 평균 22.7%에서 4월 평균 34.4%, 7월 평균 38.3%로 높아졌다.

7월 25일자 산지 쌀값은 작년 수확기 가격(10∼12월 평균가격) 15만 3,213원/80kg보다 15.6%(2만 3,839원) 높은 수준이다.

작년 수확기 가격(10∼12월 평균가격) 대비 금년 쌀값 상승률은 1월 평균 3.6%에서 4월 평균 12.1%, 7월 평균 15.2%로 높아졌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금원,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 추가출자... 운용사 5월 27일까지 접수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이하 ‘농식품모태펀드’) 투자관리전문기관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 이하 ‘농금원’)은 민간운용사를 대상으로 5월 12일(월), 농금원에서 ‘2025년 추가 출자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설명회에는 농식품분야 투자에 관심 있는 총 22개 운용사가 참여하였다. 우선 출자사업분야에 대한 설명이 진행되었다. 출자분야는 △농식품일반(300억원), △세컨더리(300억원) 및 △민간제안(100억원) 등 3개 분야로 700억원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출자사업에는 기존 정해진 투자분야에 운용사가 지원하는 대신 운용사가 자신있는 분야를 자유롭게 제안하는 방식인 △민간제안펀드가 신설되었다. 이밖에도 농식품 전·후방 산업에 투자하는 △농식품일반펀드, 중간회수시장 활성화를 위한 △세컨더리펀드를 통해 농식품산업의 투자를 촉진하고 유동성을 확대한다. 운용사 선정을 위한 서류접수는 5월 27일까지 진행된다. 이후 1차 심사(서류 심사 및 현장 실사)와 2차 심사(운용사 제안서 PT)를 거쳐 6월 중 운용사 선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농금원 박춘성 본부장은 “새로이 도입한 민간제안펀드 등 민간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적극 활용하여 농식품산업의 혁신성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김인중 농어촌공사 사장 취임사… "사람 북적이는 농어촌 만들어"
김인중 한국농어촌공사 신임 사장이 15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취임식을 갖고 농어업과 농어촌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김인중 신임 사장은 취임사에서 “우리 농어업의 역사는 도전의 연속이었으며, 그 최일선에는 항상 농어촌공사가 있었다”라며, “그동안 쌓아온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전에 임직원과 함께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김인중 신임 사장은 ▲사람이 북적이는 지속 가능한 농어촌 조성 ▲안으로는 흔들림 없는 농업, 밖으로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농업 구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미래 농어업 기반 마련 ▲국민과 농업인에게 사랑받는 공사로 도약이라는 4대 경영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농촌다움 회복, 농지은행 확대, 밭작물 생산 기반 정비, 해외사업 확장,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체계 마련, 스마트 기술의 농업 분야 확대 적용, 국민 체감하는 성과 창출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인중 신임 사장이 30년간 쌓아온 농정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농어촌공사는 사회 전반의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어업·농어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공기업으로의 본격적인 도약을 시작하게 된다. 김인중 신임 사장의 임기는 2025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