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하림' 정부 사료산업 지원자금 '싹쓸이'로 독과점 부추겨

김현권 의원 "2007년부터 사료산업종합지원금 268억원중 하림(선진)에만 75% 편중지원" 지적

'하림' 정부 사료산업지원금 '싹쓸이'

김현권 의원 "2007년부터 사료산업종합지원금 268억원중 하림(선진)에만 75% 편중지원"

2010년부터 축산계열화사업지원금 1,242억중 30% 하림에 편중 지원

오리 계열사 97개중 10개 기업에 지원 77% 집중, 독과점화 부추겨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10년간 닭오리 계열사 지원자금중 38%를 하림그룹에 집중 지원한 것을 비롯해 상위 10개기업에 전체 지원자금의 77%를 퍼부은 것으로 드러나 정부가 오히려 닭오리시장의 독과점화를 부추겼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이 농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국감 자료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2007년부터 사료산업종합지원금 268억원을 하림, 선진, 성화식품, 참프레, 에이스인티, 청솔 등 6개 기업에 지원했는데 지원금액 중 무려 75%에 달하는 202억원을 하림과 하림 계열사인 선진사료에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산업종합지원금은 사료를 공급하는 닭오리 계열사를 상대로 융자 80%2년 거치 일시상환 조건으로 연 3% 금리로 지원하는 자금이다 

부는 특히 지난 2010년부터 97개 주요 닭오리 계열사중 36개 계열사에 1,242억원을 축산계열화사업지원자금을 지원했다. 농식품부는 하림, 그리고 하림 계열사인 올품 등 정책자금을 많이 지원받은 3개 계열사에 전체 지원금액의 32%399억원, 오리계열사인 엠에스푸드와 닭계열사인 챔프레를 더한 5개 계열사에 50.2%에 달하는 624억원, 정책자금 수령금액 상위 10개 계열사에 914억원, 전체 지원금액중 73.6%를 몰아줬다.

축산계열화사업 지원자금 지원은 20101165,000만원에서 201392억원으로 까지 줄었으나 2014284억원, 2015337억원까지 늘었다가 2016220억원으로 줄었다.

이 자금은 농식품부가 닭오리 계열사를 대상으로 무이자에서 4%까지 차등 융자지원하고 있는데 신용도나 실적이 앞서는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이자 혜택을 더 많이 누리는 차별이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 소지를 안고 있다.

이와 관련해 상위 닭오리 계열사들을 중심으로 한 시장잠식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정부의 자금지원이 오히려 닭오리 시장의 독과점화를 부추기고 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김현권 의원이 입수한 업계 내부자료에 따르면 2016년 도계숫자를 기준으로 하림 (29,900만마리) 동우 (14900만마리), 이지바이오(1400만마리), 체리부로(8,700만마리), 사조(5,200만마리) 등 상위 5개 계열사 시장점유율은 200949.4%. 201257.9%, 201669.6%로 나타났다. 또한 상위 3개 닭고기 계열사의 시장점유률은 200936.3%, 201240.1%, 201655.7%로 늘었다. 상위 10개 계열사의 시장점유율도 200964.8%, 201275.5%, 201682%로 추정되고 있다.

 

김현권 의원은 오리 산업이 갈수록 규모가 큰 소수의 민간기업만 살아남는 구조로 재편되고 있어 계약농가의 계열사 종속구조가 더 심화할 것이란 우려를 자극하고 있다면서 이런 마당에 정부 정책자금 지원마저 큰 기업일수록 더 유리한 조건에 더 많은 자금을 받을 수 있게끔 이뤄진다면 육계오리 산업의 독과점화가 더 빠르게 진행돼 사익이 공익을 침해하는 문제가 더 심각해 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축산악취관리시스템, ‘축산환경e로움’으로 새롭게 출발
축산환경관리원(원장 문홍길)은 ‘축산악취관리시스템’의 명칭을 ‘축산환경e로움’으로 변경하고, 9월부터 본격적으로 홍보에 나선다. 기존의 축산악취관리시스템은 2017년 축산악취 관리를 위해 처음 구축되었으며, 현재는 깨끗한 축산농장, 가축분뇨 자원화조직체 운영, 축산악취개선사업, 가축분뇨 처리시설 및 관련기술 평가, 축산환경조사, 악취측정 ICT 기계·장비 지원사업 등 주요 사업을 포괄하는 시스템으로 확대·운영되고 있다. 이번 명칭 변경은 ‘악취’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고, 사용자 혼란을 줄이기 위해 온라인을 통해 전체 사용자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총 44명이 81건의 명칭을 제안하였으며, 농림축산식품부·지자체·관리원 관계자 심사를 거쳐 최종 명칭이 확정됐다. 심사 결과, ‘축산환경e로움’이 평균 89.7점으로 1위를 차지하며 최종 당선작으로 선정됐다. 새 명칭은 ‘축산환경’과 ‘e(efficient·easy)’에 ‘이로움’을 결합한 합성어로, 온라인 시스템이 제공하는 효율적이고 편리한 사업 관리·운영 시스템을 의미한다. 축산환경관리원 산업기반부 이정식 부장은 “이번 명칭 변경으로 시스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고, 사용자 혼란을 줄이는 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원, ‘사료용 맥류 보급종 종자’ 9월 15일부터 농가 신청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이 9월 15일 오전 9시부터 사료용 맥류 4작물 4품종(청보리, 호밀, 트리티케일, 겉귀리)의 보급종 종자를 농가단위 개별신청을 받아 보급한다. 이번 신청은 ‘종자광장’ 누리집을 통해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휴대전화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한 신청도 가능하다. 신청자는 ‘종자개별신청’→ ‘신규신청’ 메뉴에서 배송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종자를 선택한 후, 입금 안내 문자를 수신 받아 입금 절차를 완료해야 한다. 입금자명과 신청자명이 일치해야 배송되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신청 가능 품종과 수량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고 신청 취소 등으로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이번에 보급되는 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북부작물연구센터에서 육성한 청보리 ‘유진’, 호밀 ‘대곡그린’, 트리티케일 ‘한영’, 겉귀리 ‘하이스피드’ 등으로 포장 단위는 20kg이다. 전량 미소독 상태로 공급되며, 공급가격은 청보리 36,000원, 호밀 45,000원, 트리티케일 40,000원, 겉귀리 42,000원이다. 가을에 파종하는 맥류는 겨울철을 견뎌야 하므로 파종 지역의 기후와 품종 특성을 반드시 확인한 후, 적합한 품종을 신청하길 권고한다. 청보리 ‘유진’은 1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