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효율적인 임업진흥관리 간소화 방향(?)

박완주 의원,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 대표발의

효율적인 임업진흥관리 간소화 방향(?)

박완주 의원,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개정안 대표발의

 

효율적인 임업진흥권역 관리를 위해 임업진흥계획 간소화를 추진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충남 천안시을/사진)은 임업진흥계획을 산림기본계획으로 일원화하고, 임업진흥권역내 산림사업 추진체계 일원화 대책을 담은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임업진흥권역은 산림청장, ·도지사 등이 임업경영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정한 구역으로, 행정구역 대비 산림면적이 70% 이상인 지역 또는 산림이 집단적으로 분포하여 권역 설정이 가능한 지역을 말한다.

이 제도는 1988년 도입돼 지난해 말 기준 86개 시·군에 118ha가 지정되었으나, 법정계획인 임업진흥계획이 상위계획인 산림기본계획의 변경사항 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등 유명무실하게 운영되어 개선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개정안에는 양승조, 노웅래, 윤관석, 인재근, 서영교, 기동민, 김철민, 어기구, 박주민 의원이 공동발의로 참여했다.

박 의원은 현행법에 의한 임업진흥계획에는 조림과 육림계획, 주벌계획과 간벌계획, 임도시설 설치계획, 경영구조의 개선계획, 유통구조의 개선계획,임산물가공업의 지원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담고 있으나, 이는 상위법령인 산림기본법에 따른 산림기본계획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계획들이다고 설명하고, “산림기본계획의 변경시마다 임업진흥계획을 변경해야 하는 불합리함을 개선, 계획간 정합성 확보와 행정절차의 간소화를 통한 효율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임업진흥계획이 상위계획인 산림기본계획과의 정합성이 확보 돼 임업진흥계획의 효율적 운영과 절차간소화를 통한 행정능률 향상이 기대되며, 임업진흥권역의 지정해제 권한을 시장군수구청장까지 면적에 따라 위임범위를 확대하는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과 맞물려 임업진흥계획 제도 운영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박완주 의원은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법정계획은 예산의 낭비와 행정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무분별하게 수립운영되고 있는 법정계획들을 정비하고, 상위계획으로 일원화하는 등 현실적인 정책으로 국민에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버섯 농가들 버섯배지 뒷처리 고충 심각... 폐기물 대책마련 강력 호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정읍·고창)은 8월 19일 버섯산업의 발전 방안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버섯생산자연합회(회장 김민수)와 버섯전문가를 비롯해 지역에서 버섯을 재배하는 농업인 등과 버섯산업발전을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전북버섯연구회 모준근 회장, 전북기술원 허병수 연구사와 정읍·고창의 버섯농가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 버섯생산자연합회 김민수 회장과 버섯재배 농업인들은 현행법상 버섯재배용으로 사용한 후 배출되는 버섯배지는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버섯농가가 별도의 폐기물 처리시설을 등록해야 한다. 폐기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비용은 고스란히 농가의 몫임을 지적한 후 “버섯배지를 폐기물관리법 대상에서 제외하기 위해 15년 전부터 정부에 (가칭)버섯산업발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등을 요구했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윤 의원에게 제도개선과 법제정에 힘을 보태달라고 요청했다. 한 해에 배출되는 버섯배지는 약 70~90만 톤으로 환경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적고, 사료와 비료는 물론 친환경 건축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음에도 폐기물 배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