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쌀 가공식품 수출 확대 위해 권역별 대표선수 육성

中, 동남아, 구미, 중동 등 권역별 식생활․사회․문화 특성 반영

쌀 가공식품 수출 확대 위해 권역별 대표선수 육성

, 동남아, 구미, 중동 등 권역별 식생활사회문화 특성 반영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4, 서울 밀레니엄 힐튼 호텔에서 열린 쌀 및 쌀 가공식품 수출업체 간담회에 참석하여 주요 쌀 가공식품 수출업체 대표 및 수출쌀 전문가 등과 함께, 쌀 및 쌀 가공식품 수출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김 장관은 이 자리에서 쌀 가공식품 수출 확대는 매년 수확기마다 반복되는 쌀 수급불안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강조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쌀 가공제품을 전세계 소비자들에게 선보이자.”며 참석 업체들을 독려했다. 실제로 ‘16년 쌀 가공식품 유형별 쌀 사용비중을 토대로 쌀 가공식품 수출이 쌀 소비에 기여하는 바를 산출한 결과, 쌀 가공식품 10톤 수출시로 3.1톤의 쌀이 소비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식품부는 쌀 가공식품의 수출 확대를 위해 주요 시장별로 쌀 소비문화, 식습관, 종교사회문화적 특성 등을 다양하게 고려한 수출 유망 쌀 가공식품을 발굴하여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권역별로, 영유아 인구도시인구1인 가구 증가 추세인 중국은 쌀가루 이유식 등 영유아 제품즉석밥유기쌀 등에 주력하고, 주요 할랄시장이면서 채식주의자가 많은 동남아 지역은 면류 소비가 많은 특성을 고려하여 쌀 국수쌀 떡볶이 등을 전략적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또한, 쌀을 주식으로 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밀가루 음식을 소비하고, 글루텐프리 등 건강에 관심이 높은 미국유럽 등 미주 시장에 대해서는 기능성 쌀글루텐프리 쌀 빵쌀 떡볶이쌀 시리얼 등의 시장 진출을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수출 상품화에 걸림돌이 되는 기술적인 문제들은 R&D 핵심 과제로 조속히 추진하여 업계에 제공하고, 우수 쌀 가공식품은 해외 온오프라인 유통망, 해외 진출 국내 대형유통업체 유통망을 활용한 특화 마케팅을 지원하는 한편, 박람회 참가 지원 및 기획 바이어 초청 등 판로 개척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새로운 쌀 가공식품으로 중앙아동남아할랄코셔 등 신시장 개척에 적극 나서는 업체에 대해서는 마켓테스트판촉 프로모션 등 시장개척 활동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박수진 기획조정실장, 양파 주산지에서 ‘농업수입안정보험’ 중요성 강조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10월 16일 양파 주산지인 무안을 방문하여 농업수입안정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농업수입안정보험은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시장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보험 가입연도 수입(收入)이 과거 평균 수입(收入)의 일정 수준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감소분 전액을 보상하는 제도이다. 2015년 도입하여 시범 운영해 오다 2025년부터 전국 대상으로 본격 운영에 착수하였다. 총 15개 품목에 대해 운영하며, 콩, 마늘, 양파, 보리 등 9개 품목은 전국 대상으로, 벼, 봄감자, 가을배추 등 6개 품목은 일부 주산지 중심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5개 품목 18개 상품 중 현재까지 12개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으며, 10~11월 중 양파, 마늘, 보리 등을 포함한 6개 상품이 판매될 예정이다. 박수진 기획조정실장은 현장에서 양파 생산자단체 등을 만나 “양파, 마늘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의 경우 농업수입안정보험이 매우 효과적인 경영안정장치가 될 수 있으며, 11월까지 양파, 마늘 등 6개 품목의 가입기간이 진행되므로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농업인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