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농식품 소비흐름 어떻게 바뀔까?

농진청, 영양성분 정보 요구 증가에 따른 ‘국가표준식품성분’ 공개
농식품 소비 흐름 반영 … 다양한 품종 다소비 가공식품 정보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최근 식품 소비 유형의 급격한 변화와 국민의 영양성분 정보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국가표준식품성분 DB 9.2’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국가표준식품성분표는 식품 원료와 음식 등 영양성분을 분석해 기록한 것으로 1970년 초판이 발간된 이후 5년 단위로 개정돼 왔다.

 

기존에는 5년 주기로 국가표준식품성분표를 공개했으나 지난해부터 변화하는 식품 소비 트렌드를 반영하고 영양성분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해 매년 공개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국가표준식품성분 DB 9.2에는 식품 3,088점, 총 207,041건의 식품 성분 정보가 수록돼 있다.

 

최근 세분화되고 있는 농식품 소비 유형에 따라 감귤, 버섯, 포도의 품종별 정보를 강화했으며, 소비량이 늘고 있는 햄, 젤리, 초콜릿, 녹차라떼 등 식품 98점이 추가됐다.

또한 두부, 팥, 찰옥수수, 메추리알 등 82점의 식품이 최신 정보로 교체됐으며, 야생버섯 등 활용이 낮은 식품 45점의 정보는 삭제됐다.

영양성분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당류, 아미노산, 지방산, 비타민 E 등 건강에 큰 영향을 끼치는 영양 세부정보를 포함한 130종이 수록됐다.

 

 

농촌진흥청은 정부혁신의 하나로 추진하는 건강·웰빙 트렌드를 반영한 식품 영양·기능성 정보 개방에 따라 국가표준식품성분 DB 9.2를 농식품올바로에서 엑셀 파일로 누구나 내려 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올 하반기부터 국가표준식품성분 DB 9.2 내용을 ‘국가표준식품성분 검색’ 기능을 통해 찾아볼 수 있도록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식생활영양과 박동식 과장은 “국민이 소비하는 식품의 최신 영양성분 정보를 제공하고 활용성과 편이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오현승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버섯 농가들 버섯배지 뒷처리 고충 심각... 폐기물 대책마련 강력 호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정읍·고창)은 8월 19일 버섯산업의 발전 방안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버섯생산자연합회(회장 김민수)와 버섯전문가를 비롯해 지역에서 버섯을 재배하는 농업인 등과 버섯산업발전을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전북버섯연구회 모준근 회장, 전북기술원 허병수 연구사와 정읍·고창의 버섯농가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 버섯생산자연합회 김민수 회장과 버섯재배 농업인들은 현행법상 버섯재배용으로 사용한 후 배출되는 버섯배지는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버섯농가가 별도의 폐기물 처리시설을 등록해야 한다. 폐기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비용은 고스란히 농가의 몫임을 지적한 후 “버섯배지를 폐기물관리법 대상에서 제외하기 위해 15년 전부터 정부에 (가칭)버섯산업발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등을 요구했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윤 의원에게 제도개선과 법제정에 힘을 보태달라고 요청했다. 한 해에 배출되는 버섯배지는 약 70~90만 톤으로 환경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적고, 사료와 비료는 물론 친환경 건축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음에도 폐기물 배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