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햇마늘-햇양파' 산지작황 좋다

KREI 농업관측본부 "마늘‧양파 실측결과, 생육은 전년보다 좋거나 비슷, 최근 기상여건은 평년보다 좋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 농업관측본부(이하 관측본부)에서 실시한 마늘‧양파 생육 실측 4차 조사 결과(3.30~4.8), 2020년산 마늘·양파 생육은 전반적으로 전년보다 좋거나 비슷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별 마늘, 양파 생육은 경북, 전남, 충북은 전년보다 좋거나 매우 좋으며, 제주는 작황이 좋았던 전년과 비슷하거나 나쁜 것으로 조사되었다. 3월 중순~4월 상순 지역별 기상 여건은 평년보다 좋거나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생육 실측조사는 2.24일(1차), 3.12일(2차), 3.25일(3차) 조사에 이은 4차 조사결과로, 수확이 대부분 마무리되는 6월 하순까지 7차례 추가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마늘, 양파 생육 실측은 마늘·양파 표본농가(1,738호) 중 각각 100농가를 지역별로 선정하여 각 필지 내 표본구 3개(각 1평)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생육전문가 등 자문을 거쳐 엽수(매), 초장(cm), 엽초장(cm), 엽초경(mm) 등을 조사중이며, 필지별 수확 5~7일 전에는 실제 구중과 구직경을 측정하여 10a당 수확량을 산정할 계획이다.

  

생육지표(엽수, 초장, 엽초장, 엽초경)의 2019년과 2020년 평균은 신뢰구간 95%에서 대체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품종별로 양파 중만생종, 마늘 대서종은 생육이 전년보다 좋았으나 양파 조생종, 마늘 남도종은 전년과 차이가 없거나 다소 부진하였다. 이는 파종·육묘기에 태풍으로 양파 조생종과 마늘 남도종 주산지인 제주의 초기 생육 상태가 좋지 않았던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올해 실측 농가를 그룹별로 분석한 결과 지역, 영농규모, 정식시기에 따라 생육지표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향후 농가 특성정보와 재배면적, 품종 등 모든 생육 영향 변수를 고려한 다각적인 분석을 추진할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진원, 지역농협과 손잡고 폭염 안전캠페인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최근, 전북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익산원예농협 본점에서 익산원예농협과 공동으로 폭염 대응 및 기후 재난 예방을 위한 안전 캠페인을 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늦더위가 일상화되면서, 기후 재난으로부터 국민과 농업인의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농진원은 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과 지역 중심의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해 이번 캠페인을 마련했다. 이번 캠페인에는 농진원 및 익산원예농협 직원 등 관계자 15명과 지역 주민들이 동참했다. 현장에서는 농업인과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응급조치 요령이 안내됐으며, 폭염 상황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폭염 안전 5대 수칙’을 중심으로 한 홍보 활동이 전개됐다. 이와 함께 양산, 생수, 보냉컵 등 폭염 대응을 위한 안전 물품이 배부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폭염 안전 5대 수칙’은 충분한 물 섭취, 바람과 그늘 활용, 규칙적인 휴식, 보랭 장구 사용, 응급조치 숙지로 구성돼 있다. 또한, 농진원은 캠페인 현장에서 자체 안전 인프라와 대국민 서비스를 함께 소개했다. 종합분석동 로비에 마련된 무더위 쉼터 운영 상황을 공유하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