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농경연, ‘건고추’ 공급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농경연 농업관측본부 “2019년산 마늘‧양파 재배면적 평년보다 증가” 예상 발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 12월 양념류 농업전망>

▷건고추= 2018년산 건고추 생산량은 재배면적 증가와 작황호조로 전년보다 28% 증가한 7만 1,509톤이다(통계청, 11. 23.). 건고추 12월 화건 상품 600g당 평균 도매가격은 2018년산 생산량 증가로 전년(12,360원)보다 낮고 전월(11,790원) 대비 약보합세로 전망된다. 2019년산 고추 재배의향면적은 2018년산보다 2∼5% 증가한 29,300∼30,200ha로 전망된다.

 

▷마늘= 2018년산 난지형 마늘 입고량은 전년 대비 1% 증가한 9만 7천 톤 내외, 11월 말 기준 출고량은 전년보다 8% 많은 3만 톤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감모율을 감안한 재고량은 전년보다 4% 적은 6만 2천 톤으로 추정된다. 12월 깐마늘 평균 도매가격은 전월(5,980원)과 비슷한 5,950원 내외로 전망된다. 2019년산 마늘 재배면적은 평년보다 12∼15% 증가한 26,500∼27,300ha로 추정된다.

 

▷양파= 2018년산 양파 입고량은 중만생종양파 생산량 증가로 평년보다 9% 많은 67만 2천 톤 내외로 추정된다. 11월말 기준 출고량은 평년보다 3% 많은 24만 9천 톤 내외로 추정된다. 따라서 감모율을 감안한 재고량은 평년보다 11% 많은 37만 2천 톤으로 추정된다. 12월 양파 상품 kg당 평균 도매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전년(1,150원) 및 평년(990원)보다 하락하나 전월(710원)대비 보합세가 예측된다. 2019년산 양파 재배면적은 평년보다 8∼10% 증가한 22,800∼23,200ha로 추정된다.

 

▷대파= 대파 12월 출하량은 출하면적이 감소하나 단수가 증가하여 전년보다 소폭(1%)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대파 12월 상품 kg당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1,570원)과 전월(1,760원)보다 낮은 1,500원 내외로 전망된다. 2018년산 겨울대파 면적이 평년보다 크게 많은데다 금년 겨울 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것으로 예보되어 단수 증가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겨울 대파 출하가 미뤄질 경우 내년 봄 출하량 증가로 인한 가격하락이 우려되니 농가의 신중한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