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농을 중심으로하는 국민과 함께하는 농민의길에서 11월 11일 전국 농민대회와 함께 농민기본법제정 등 농업계현안을 담은 기자회견문을 발표했다. 기자회견문 주요 내용이다. 지난해 농민들의 농업소득은 농가당 948만 5천 원이었다. 20년 만에 최저로 추락한 수치였다. 추락에는 다른 이유가 있지 않다. 농사짓는 데는 돈이 많이 들지만, 농산물가격은 제대로 보장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세상 만물의 값이 치솟으며 농업생산비도 폭등했다. 그러나 세상에 딱 하나 농산물값은 가격이 추락했다. 게다가 올해는 냉해, 우박, 폭우, 태풍까지 연이은 재해로 어느 한 군데 성한 농지가 없을 지경이다. 어느 한 시절이라도 농민들이 살기 좋은 해가 있었겠냐만, 요즘처럼 살기 힘든 때는 없었다. 이러한 농민들의 부담을 덜어줘야 할 이 나라 정부 윤석열정부는 오히려 농민들에게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물가를 핑계로 저관세·무관세 TRQ 수입을 자행하여 우리 농산물가결을 파탄냈다. 쌀값이 45년 만에 최대로 폭락했는데도 양곡관리법 개정안에는 1호 대통령 거부권을 행사하여 농업에 대한 국가의 최소한의 책임조차 거부했다. 재해로 피해를 입은 농민들에게 역대 최대의 지원을 하겠다며 큰소리쳤지만,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인 CPTPP 가입을 반대하는 농수축산업계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농업·수산·축산·임업 포기선포와 다름이 없는 정부의 CPTPP 가입논의에 대응하여 한국농축산연합회는 농민의 길, 한국수산업경영인연합회, 한국임업후계자협회는 가칭 ‘CPTPP 가입논의 중지를 위한 농수축산 공동대응(가칭)’을 구성하고 1월12일 ‘CPTPP 농림부설명회’ 무산을 위한 집결⋅행동과 함께 CPTPP 가입반대 기자회견을 같은 날 청와대 앞에서 개최했다. 한국농축산연합회는 계속되는 양자간 FTA와 메가FTA 등 각 국제협상에 대응하여 우리 농축산업과 시장보호를 위해 농축산물 관세율 유지 또는 관세 철폐기간 최대 설정을 위해 노력해 왔다. 특히 지금까지 모든 국제협상이 우리 농축산업계로서는 생존권 유지를 부르짖을 정도로 막중한 피해만 가중되어온 상황에서 최근 정부의 CPTPP 가입준비를 위한 여론수렴과 사회적 논의 진행은 설상가상 ‘농축산물 관세 100% 철폐’가 내재되어 있는 논의로 한국농축산연합회는 좌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에 한국농축산연합회는 농민의길, 한국수산업경영인연합회, 한국임업후계자협회 등 농수산단체들과 함께 정부의 CPTP
코로나-19 대책 마련을 위한 농민공동행동을 출범하고, 7일 청와대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가져 주목을 끌고 있다. 이들은 기자회견에 앞서 농민의 길과 한국농축산연합회 그리고 축산관련 단체 협의회는 4월 27일, ‘코로나-19 대책 마련을 위한 농민단체 연합 준비모임’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3차 추경에 농민지원 반영의 필요성에 합의하고, 공동행동을 할 것을 합의하여 코로나-19 대책마련을 위한 농민공동행동(이하 농민공동행동)을 구성했다. UN 식량농업기구(FAO)는 지난 3월말 “현재까진 식량 공급이 적절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4~5월엔 식량 위기가 발생 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유엔 식량안보위원회(CFS)는 물류 중단 현실화를 경고하고 있다. 특히 FAO는 식량을 옮길 수 없는 물류 중단 현상이 이미 벌어지고 있고, 감염으로 인한 노동력 제한이나 비료와 사료 등 농자재 무역이 중단될 경우 농산물 생산이나 가공에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 이들 움직임과 대응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이날 전국농민회총연맹과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전국마늘생산자협회, 전국양파생산자협회 주최로 전국농민대회가 국회 앞 여의도 민주당사 앞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