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한국정부대표단, WTO 쌀 개방 중단 나서라!”

전농, 식량주권 파괴하는 WTO 해체 투쟁에 나서는 원정투쟁단 선언

한국정부대표단, WTO 쌀 개방 중단 나서라!”

전농, 식량주권 파괴하는 WTO 해체 투쟁에 나서는 원정투쟁단 선언

 

11 WTO각료회의가 12 1013일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다.

칸쿤에서 자결한 이경해열사의 말씀처럼 WTO는 농민을 죽인다다국적기업과 자본의 이익을 대변하고 민중의 삶을 파괴하고 있다.

 

WTO는 수출국과 자본에 무한한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DDA협상을 추진했지만 민중들의 저항으로 무력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의 농민들은 WTO 반대투쟁을 적극적으로 진행했고특히 각료회의가 열린 칸쿤,홍콩발리 등에서 세계농민들과 함께 싸워왔다. 

이번 각료회의는 농업분야에서 농업보조금식량안보 문제 등이 논의될 예정이지만 세계화로 고통 받는 농민들의 요구는 거론조차 되지 않는다오직 수출국들의 이해만 내세우는 쟁탈전이다.

 

우리쌀도 충분한데도 매년 국내 소비량의 10% 가량인 41만 톤을 의무적으로 수입해야 하는 것은 불공정하고 비상식적이다.

WTO의 불합리성과 반농민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며식량주권을 파괴하는 대표적 모습이다.

이로 인해 한국의 농민들은 쌀값 폭락으로 고통 받고 있으며정부는 정부대로 직불금 예산과 생산조정제 예산으로 국민혈세를 낭비하고 있다.

 

이제 강도적인 WTO 쌀 개방을 종식시켜야 한다. 우리 국민과 농민에게 지워진 멍에를 벗어야 한다. WTO 각료회의에 한국정부의 대표단은 쌀 개방 중단을 선언해야 한다.의무적인 쌀 개방을 폐기하는 공식적인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이들은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또 WTO 11차 각료회의 정부 대표단에게 지난 정부처럼 미국과 다국적기업의 이익에 맹종하지 말고 쌀 개방 중단에 강력히 나서 줄 것도 촉구하고 있다.  

전국농민회총연맹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전국친환경농업인연합회로 구성된 WTO 반대 투쟁단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전 세계 민중들과 WTO를 종식하고 쌀 개방을 끝장내기 위해 싸워 나갈 것이라고 선언하고 나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양봉협회, 세계 꿀벌의 날!... 슬로베니아 한국대사관과 협약체결
한국양봉협회는 5월 20일, 서울 슬로베니아 대사관에서 슬로베니아 예르네이 뮐러 대사와 한국양봉농협이 양봉 6차산업 혁신과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 이번 업무협약은 2년간 유효하며 이견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2년씩 그 효력이 연장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슬로베니아 예르네이 뮐러 대사는 “양국의 양봉교류를 통해 함께 성장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또한 세계 꿀벌의 날이 슬로베니아에서 UN에 건의하여 지정된 만큼 협회가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 꿀벌의 날’이 정부 공식 기념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며 꿀벌의 날의 공식 기념일 지정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근호 회장은 “슬로베니아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선진양봉국가로 꿀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양봉문화와 선진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꿀벌 질병예방·관리 시스템은 우리가 배우고 도입해야할 중요 모델로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국내 양봉산업이 한단계 발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원한다”라며, 업무협약에 대한 긍정적인 시너지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양국은 꿀벌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공동 홍보 활동도 함께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이번 업무협약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김인중 농어촌공사 사장 취임사… "사람 북적이는 농어촌 만들어"
김인중 한국농어촌공사 신임 사장이 15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취임식을 갖고 농어업과 농어촌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김인중 신임 사장은 취임사에서 “우리 농어업의 역사는 도전의 연속이었으며, 그 최일선에는 항상 농어촌공사가 있었다”라며, “그동안 쌓아온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전에 임직원과 함께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김인중 신임 사장은 ▲사람이 북적이는 지속 가능한 농어촌 조성 ▲안으로는 흔들림 없는 농업, 밖으로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농업 구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미래 농어업 기반 마련 ▲국민과 농업인에게 사랑받는 공사로 도약이라는 4대 경영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농촌다움 회복, 농지은행 확대, 밭작물 생산 기반 정비, 해외사업 확장,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체계 마련, 스마트 기술의 농업 분야 확대 적용, 국민 체감하는 성과 창출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인중 신임 사장이 30년간 쌓아온 농정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농어촌공사는 사회 전반의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어업·농어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공기업으로의 본격적인 도약을 시작하게 된다. 김인중 신임 사장의 임기는 2025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