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흙토람’소면적 고소득 133작물 양분관리 정보 제공

농가소득에 도움 되는 비료사용처방서 활용 당부

흙토람소면적 고소득 133작물 양분관리 정보 제공

농촌진흥청, 농가소득에 도움 되는 비료사용처방서 활용 당부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재배면적은 작지만 농가 소득에 기여하는 12작물을 추가해 총 133작물의 비료사용처방서를 흙토람에 제공한다. 올해 추가한 12작물은 곡류(메밀), 근채류(연근우엉야콘), 경엽채류(아욱청경채), 산채류(눈개승마(삼나물)민들레), 약용작물(어성초엉겅퀴결명자식방풍)이며, 지난 2년간 농촌진흥청 토양비료과와 강원전북전남 농업기술원이 공동으로 비료사용량을 설정했다.

 

비료사용처방서는 현재 상태의 토양 양분을 알려주는 진단표이다. 비료사용량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 소면적 작물도 비료사용처방서를 활용해 적정량의 비료를 주면 작물과 토양을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다. 처방서 발급을 위해 작물 재배 전 토양시료를 채취해 가까운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의뢰하면 된다.

 

처방서에는 토양 pH,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칼륨칼슘 마그네슘), 전기전도도 등을 분석해 토양 상태가 작물 재배에 적당한지 여부를 담고 있다. 토양 분석 결과에 따라 작물별로 밑거름, 웃거름 등 비료 필요량을 주면 된다.

 

농산물 인증 신청 농가는 비료사용처방서를 활용해 토양의 양분관리와 비료 사용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친환경농산물 무농약 인증을 위해서는 작물별 비료필요량의 1/3 화학비료를 사용해야 하며, 비료사용처방서에서 제시하는 비료 추천량을 준수하면 농산물 우수관리인증(GAP) 심사에서 토양 양분관리 노력을 인정받을 수 있다.

 

농촌진흥청 토양비료과 이예진 농업연구사는 토양을 건강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비료사용처방서를 발급받아 토양의 양분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만큼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박수진 기획조정실장, 양파 주산지에서 ‘농업수입안정보험’ 중요성 강조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10월 16일 양파 주산지인 무안을 방문하여 농업수입안정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농업수입안정보험은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시장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보험 가입연도 수입(收入)이 과거 평균 수입(收入)의 일정 수준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감소분 전액을 보상하는 제도이다. 2015년 도입하여 시범 운영해 오다 2025년부터 전국 대상으로 본격 운영에 착수하였다. 총 15개 품목에 대해 운영하며, 콩, 마늘, 양파, 보리 등 9개 품목은 전국 대상으로, 벼, 봄감자, 가을배추 등 6개 품목은 일부 주산지 중심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5개 품목 18개 상품 중 현재까지 12개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으며, 10~11월 중 양파, 마늘, 보리 등을 포함한 6개 상품이 판매될 예정이다. 박수진 기획조정실장은 현장에서 양파 생산자단체 등을 만나 “양파, 마늘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의 경우 농업수입안정보험이 매우 효과적인 경영안정장치가 될 수 있으며, 11월까지 양파, 마늘 등 6개 품목의 가입기간이 진행되므로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농업인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