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농협경제지주 청과사업국, TY시스펜 토마토 소비확대 스팟 판매

농우바이오, 열을 가하지 않아도 흡수 가능한 시스라이코펜 함유 미니토마토 차별화

TY시스펜 토마토 소비 확대를 위한 스팟 판매

익히거나 열을 가하지 않아도 흡수가 가능한 시스라이코펜 함유 대추형 미니토마토 TY시스펜 차별화 시도

농우바이오는 양재동 하나로마트에서 농협경제지주 청과사업국(국장 김일수)과 공동으로 1526일부터 29, 262일부터 4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TY시스펜 토마토 소비 확대를 위한 스팟 판매 행사를 진행했다.


국내 미니토마토 소비시장은 그 동안 당도가 낮고 껍질이 남는 등 이물감이 있어 생과 소비가 많지 않았던 수입종 원형 미니토마토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현재는농우바이오가 개발 하여 2010년부터 보급하기 시작한 고당도의 식미감이 우수한 대추형 미니토마토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번에 소개되는 TY시스펜 토마토는 국내최초 신개념 기능성 대추형 미니토마토로 일반적으로 토마토가 가지고 있는 트랜스형의 라이코펜이 인체에 흡수되기 위해서는 열을 가하거나 익혀 먹어야하는 불편함이 있는 점을 개선하여, 열을 가하거나 익히지 않고 먹어도 인체에 흡수가 빠른 시스형의 라이코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건강과 맛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가진 소비자들에게 만족도가 높은 신개념 건강 토마토 품종이다.


농우바이오 최유현 사장은 이번 TY시스펜 토마토 스팟 판매 활동을 통해 농업인들에게는 고품질의 종자를 소비자들에게는 건강에 좋은 기능성 농산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신품종 개발에 주력 하고, 이번 행사 역시 소비자 호응이 좋을 경우 전국의 하나로 마트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유통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