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aT, 몰인몰 오픈으로 우수식자재 대량공급 확대

“포스몰 대용량 식자재 공동 브랜드 런칭 및 몰인몰 오픈”

포스몰 대용량 식자재 공동 브랜드 런칭 및 몰인몰 오픈

aT, 공동 브랜드 개발 및 앱 몰인몰 오픈 통해 우수 식자재 대량공급 확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여인홍)11일 종교 단체 대상 대용량 식자재 공동 브랜드 오늘의 양식을 런칭하고, 180만여 명의 회원이 이용하고 있는 바이블25에 몰인몰(Mall in Mall)형태의 식자재 쇼핑몰을 정식으로 오픈한다.

 

공동 브랜드 오늘의 양식은 도시 지역의 교회와 농촌의 상생발전을 위해 개발된 브랜드로 대량 공동구매를 통하여 기존거래 대비 1020% 인하된 가격으로 식자재를 구매할 수 있다. aT는 농수산물사이버거래소가 운영 중인 포스몰의 산지 식재료 상품 중 가격과 품질이 우수한 상품에만 오늘의 양식 브랜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대용량 식자재 공동 브랜드를 사용한 첫 번째 상품은 함께 먹고 사랑하고 기도하는 쌀로 공동브랜드를 적용해 디자인, 포장 등을 별도로 구성했다. 서울·경기도 지역과 부산·경상남도 지역에 한해 직 배송되며, 판매가격은 현금결제 조건으로 4kg 9,200(40개 이상 구매 시), 10kg 17,900(30개 이상), 20kg 33,800(20개 이상)이고, 계약재배를 한 새일미단일 품종을 GAP관리시설에서 가공·생산한 고품질 쌀로 찰기가 많아 밥맛이 좋다는 평을 받고 있다.

 

바이블25앱에 신규 오픈한 몰인몰에서는 오늘의 양식 브랜드 상품뿐만 아니라 포스몰의 우수 식재료 20여 품목으로 구성된 40개 상품도 만나 볼 수 있으며, 정식 오픈 기념으로 돼지고기 목살, 참외, 쌀 등을 1040% 할인 판매하고 신규가입 할인쿠폰(1만원)을 제공한다.

 

aT 황형연 사이버거래소장은 농식품 온라인 구매는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소비자들이 농식품 안전과 품질 문제 때문에 온라인 구매를 망설이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공공기관으로서 믿을 수 있는 공동 브랜드 개발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직거래 쇼핑몰 개발을 통해 좋은 품질의 농수산물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